원문정보
Appearance of '的' and Conditions of Accreditation of the ‘N1+(的)+ N2’ Structure
초록
영어
In the structure of the noun modifier 'N1的N2', when the qualifier is a person-specific ambassador and the central language is a general noun, it is divided into a format that enables and is unable to appear. A prior study of this phenomenon reports the following findings. First, in terms of meaning function, criteria were proposed to distinguish the permanent relationship from the attribute relationship. Then, from a chemical point of view, the permanent relationship focused on contrast while the attribute relationship played a role in projecting the entire vocabulary. Such an analysis was unable to establish rules on the emergence and non-existing conditions of the 'N1的N2' structure as an analysis of the function of '的'. The present study is therefore intended to solve these problems. Unlike the research method proposed in prior studies, the present appearance and undeclared conditions of the '인N2' structure were analyzed by applying the principle of conceptual hybrid theory—which is a cognitive viewpoint theory—and the principle of circular theory. The following findings were obtained by comparing the study’s derived results with the results of prior research in order to avoid boundary ambiguity—i.e., the error considered as an equal structure or a lump of vocabulary—and to clarify the boundaries between the owner and the owner. Meanwhile, the non-release of the word "的" is more clearly understood since a close connection between "N1" and "N2" is also possible, so that it becomes an expression that projects the entire structure from the word "core" to a single word. In other words, the study’s analysis combined with the concept mix theory, which is a cognitive perspective, resulted in a more concrete demonstration of the rules on the emerging condition of '的' by clearly articulating the basis for the discussion presented in prior studies.
한국어
현대중국어 어법구조 가운데서 명사성 수식구조 ‘N1(的)N2’의 관형어가 인칭대명사 이고 중심어가 일반명사일 경우 ‘的’자의 출현이 가능한 형식과 가능하지 않은 형식으로 구분된다. 이러한 현상에 대해 선행연구는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보고하고 있다. 먼저 의미기능 면에서는 소유구조와 속성구조를 구분할 수 있는 기준이 제시되었고, 다음은 화용적 관점에서의 소유구조는 대비초점이 화자의 의도에 따라 다를 수 있으며, 속성구조는 전체어휘를 돌출시키는 역할을 한다고 하였다. 이러한 분석은 ‘的’자 기능에 대한 것으로, ‘N1(的)N2’구조에서 ‘的’자의 출현과 비 출현의 기준은 제시되지 못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다음과 같은 기준으로 분석을 시도하였다. 선행연구에서 제안한 연구방법과 달리, 인지 언어학의 이론인 개념적 혼성이론과 원 형이론의 원리를 접목하여 ‘N1(的)N2’ 구조에서 ‘的’자의 출현과 비 출현의 조건을 분석 한 후, 도출된 결과와 선행연구와의 결과를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차이를 제시할 수 있었다. ‘的’자의 출현조건은 ‘N1’과 ‘N2’ 간에 상호 인지적 연상이 불가할 때 경계의 모호함이 나타났다. 이것은 동격 구조나 혹은 한 덩어리 어휘로 간주하는 오류를 방지하거나 소유자와 피 소유자의 경계를 더 분명하게 구분하기 위함으로 인해 나타난 기준으로 판단 되었다. 한편, ‘的’자의 비 출현조건은 상호 인지적 연상이 가능할 때, ‘N1’과 ‘N2’의 연결 이 긴밀하였는데 이것은 관형어, 중심어를 한 덩어리 어휘로 간주하고 전체구조를 돌출 시키기 위한 표현임을 좀 더 확실하게 파악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인지 언어학의 이론인 원형이론과 개념적 혼성이론을 접목하여 분석한 결과, 선행연구에서 나타났던 논의의 문제점에 대한 인지 이론의 근거를 명확하게 제시 함으로써 ‘的’자 출현조건의 규칙을 좀 더 확실하게 증명할 수 있는 결과를 가져오게 되었다.
목차
Ⅰ. 서론
Ⅱ. 선행연구에 대한 고찰
Ⅲ. 방법론적 모색: 개념적 혼성이론과 원형이론
1. 개념적 혼성이론
2. 원형이론
Ⅳ. 의미・화용・인지에 따른 ‘的’의 기능 차이 및 출현 양상
1. ‘的’의 의미적 차이 고찰
2. ‘的’의 화용적 기능 고찰
3. 소유구조에서 ‘N1’과 ‘N2’의 인지연상에 의한 ‘的’ 출현 양상
Ⅴ. 개념적 혼성이론에 근거한 분석 및 검증
1. 원형적 소유구조 ‘N1N2’의 개념적 혼성의 연결망
2. 비 원형적 소유구조 ‘N1 的 N2’의 개념적 혼성의 연결망
Ⅵ.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