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개인의 사회적 관계가 디지털 기기 활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 사회적 자본 관점

원문정보

Effect of Social Relation on Digital Device Usage : A Social Capital Perspective

구윤모, 오주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As smart phones, tablets, and other digital devices become more pervasive, theoretical arguments around digital divide, which has previously focused on “access,” is now expanding to effectively “utilize,” actively “produce” and “share” information. Such discussion is significant because the impact on inter-personal and social networks depends on how digital divides are used, which can then recreate or exacerbate social inequality structures.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 of individual’s social relations and two types of social capital (i.e., bonding and bridging) on economic and socio-participatory usage of digital devices. An empirical analysis of dataset from 740 surveys reveals that the more horizontal the social relations of the individual, the more both bonding and bridging social capital increase. However, rather than the social relationship of the individual directly influencing the two types of digital device usage, it has an indirect effect on both economic and socio-participatory usage of digital devices. In particular, mediating effects of both bonding and bridging social capital exist in the case of economic usage of digital devices, whereas bonding social capital only has mediating effects on economic usage of digital devices. We discuss the role of social capital on digital devices usage and present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한국어

스마트폰, 태블릿과 같은 디지털 기기의 보급이 광범위하게 확산되면서 ‘접근’을 중심으로 진행되던 정보격차에 대한 이론적 논의가 정보의 효과적인 ‘활용’과 능동적인 ‘생산’, ‘공유’로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논의가 중요한 것은 디지털 기술의 활용 행태가 개인의 인적, 물적 네트워크에 영향을 미침으로써 사회적 불평등 구조를 재생산하거나 심화시키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개인이 맺고 있는 사회적 관계가 두 가지 유형의 사회적 자본(결속형, 가교형)을 매개로 디지털 기기의 경제적 활용과 사회참여적 활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전문리서치 업체를 통해 수집된 740건의 설문조사 데이터에 대한 실증분석 결과, 개인의 사회적 관계가 수평적일수록 결속형 사회적 자본과 가교형 사회적 자본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개인의 사회적 관계는 두 가지 형태의 디지털 기기 활용(경제적, 사회참여적) 모두에 직접적인 영향보다는 사회적 자본을 통한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가교형 사회적 자본의 경우 두 가지 형태의 디지털 기기 활용 모두에 대해 매개효과가 존재했지만, 결속형 사회적 자본은 경제적 활용에 대해서만 매개효과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출된 결과에 대한 해석과 함께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문헌연구
2.1 정보기술 활용의 결과 격차
2.2 사회적 관계
2.3 사회적 자본 이론
Ⅲ. 연구모델 및 가설
3.1 사회적 관계와 디지털 기기 활용 결과
3.2 사회적 관계와 사회적 자본
3.3 사회적 자본과 디지털 기기 활용 결과
Ⅳ. 연구 방법
4.1 측정도구 개발
4.2 데이터 수집
Ⅴ. 자료 분석 및 결과
5.1 측정 모형 분석
5.2 구조 모형 분석
Ⅵ. 논의 및 결론
6.1 연구의 의의 및 시사점
6.2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연구방향
참고문헌
부록
Abstract

저자정보

  • 구윤모 Yunmo Koo. 연세대학교 바른ICT연구소 연구교수
  • 오주현 Joohyun Oh. 연세대학교 바른ICT연구소 연구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