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 연구]

북한이탈주민의 개인-직무적합성과 상호작용 공정성 지각, 심리적 불안이 조직정체성 지각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원문정보

Influence of a North Korean Defector's Person-Job Fit, Perceived of Interactional Justice and Psychological Anxiety has on the Perceived of Organizational Identity and Turnover Intention

김승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is about North Korean defector's adaptation to company life in South Korea. The study of job adaptation and person-job fit in their company life is the beginning stage. But, North Korean defector's have some problems because of their high turnover intention. Based on the 2017 Korea Hana Foundation Survey, The duty working period of defector's in North Korea is 25.2 months. They have a willingness to turnover around in their second year of work learning. Therefore, This study was examined North Korean defectors' adaptation to company life that their such as personal-job fit, perceived interactional jutice, psychological anxiety related to perceived organizational identity The results showed a positive effect with perceived organizational identity except for psychological anxiety. The perceived organizational identityin North Korean defector's corporate life has a negative effect on turnover intention. This means that the perceived organizational identity has a significant effect on lowering the intention to turnover.

한국어

북한이탈주민의 남한의 정착과정에서 기업내 직무태도에 대해 살펴본 연구는 매우 적은 실정이다. 북한이탈주민은 직장내에서 비교적 높은 이직의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2017년 남북하나재단 실태조사를 통해 북한이탈주민 임금근로자의 근속기간은 25.2개월로 업무에 익숙해지는 2년을 전후하여 이직의도를 갖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조 직에서 북한이탈주민들의 업무환경 특성에 따른 적합성, 즉 개인-직무적합성과 상호작용 공정성 지각, 심리적 불안이 조직정체성 속성에 미치는 영향을 보면 심리적 불안을 제외하 고 조직정체성 지각에 정(+)의 관계임이 나타났다. 북한이탈주민들의 직장내 조직정체성 지각은 이직의도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조직정체성 지각이 이직의 도를 낮추는데 매우 영향이 크다는 의미이다.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2.1 북한이탈주민(North Korean Defectors)
2.2 개인-직무적합성
2.3 상호작용 공정성 지각(Perceived Interactional Justice)
2.4 심리적 불안(Psychological Anxiety)
2.5 조직정체성 지각(Perceived Organizational Identity)
2.6 이직의도(Turnover Intention)
Ⅲ. 연구의 가설 및 측정항목
3.1 연구의 가설 이론적 배경
3.2 조작적 정의 및 측정항목
Ⅳ. 연구 결과
4.1 표본의 일반적 특성
4.2 개념 신뢰성 및 타당성 검증
4.3 모형의 적합도 검증
4.4 연구가설의 검증 결과
Ⅴ. 결론 및 시사점
5.1 결론
5.2 연구의 시사점
5.3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연구방향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승진 Seungjin Kim. 서강대학교 경영전문대학원 경영학과 박사과정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