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はずだ」の推量特性について

원문정보

A Study on Inferential Characteristics of “Hazuda”

성호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re are many inferential forms which show a speaker’s uncertain perception on a thing or a situation in the Japanese language. In the previous studies of the Japanese language, an inferential form ‘hazuda’ has been known as a form which means logical inference based on an objective evidence or the naturalness of the occurrence of a thing based on a solid evidence. This paper purports to review the characteristics mentioned above and clarify the essential features of ‘hazuda’ in its meaning or usage. This paper focuses on the fact that the previous studies generally emphasized the visible surface features and overlooked the invisible aspects of the form. To reach the goal, this paper seeks to analyze carefully and comprehensively many actual usages of the form ‘hazuda’. As a result this paper can clarify the essential inferential meaning or usage of the form. First of all, ‘hazuda’ can get a firm position within the inferential modality system through this study. In the previous studies, this form was not placed in the inferential modality but in the other category of evidential modality. That is, the position of this form in the modality system has been very flexible. In this paper, the meaning, usages, morpo-syntactic characteristics, etc. of ‘hazuda’ provided reliable evidences which position this form within the inferential modality system. And various data and analyses of the usages clarified the fact that ‘hazuda’ has entirely different two-sided characteristics. One of them is that this form basically has the characteristics of a quasi-inferential form. It also has the characteristics of real inferential form whose typical form is ‘darou’ in the other side. As a result it can be argued that ‘hazuda’ is a ‘real quasi󰠏inferential form placed between quasi󰠏inferential and real inferential form in the inferential modality system in the Japanese language.

한국어

본고에선 사태에 대한 화자의 불확실한 인식을 나타내는 일본어의 추량 형식 중에서, 종래 선행 연구에서 「객관적 근거에 기초한 논리적 추론」, 「확실한 근거에 기초한 사태 성립의 당 연성 표시」 등으로 규정되어 온 ‘하즈다’의 추량 특성을 再照明하는 데 주된 목표를 둔다. 본고는 대부분의 선행 연구가 ‘하즈다’의 可視的인 특정 용법에 주목하여, 여타 주요 특성을 간 과하였고, 이에 따라 이 형식의 본질적인 특성을 규명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는 점에 주목하 였다. 이에 따라 본고는 추량과 관련된 ‘하즈다’의 실제 용법을 면밀히 그리고 포괄적으로 분석 하여, 다음과 같은 이 형식의 추량 특성을 규명하였다. 우선, 추량 모달리티 체계내에서의 ‘하즈다’의 위치 문제이다. 종래 대부분의 선행연구에 선 ‘하스다’의 추량이 아닌 다른 의미 범주에 속하는 형식으로 인식되어 왔다. 그러나 본고 에선 ‘하즈다’를 추량 모달리티 체계내에 위치시키고, 추량의 의미 및 용법, 형태통사적 특성 등을 고려하여 의사 추량 모달리티 형식으로 규정하였다. 그리고 추량과 관련된 다양한 용법 의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하즈다는 여타의 의사 추량 형식과는 달리, 의사 추량 형식으로서 의 속성과 함께, ‘다로우’와 같은 진정 추량 형식으로서의 속성을 공유하고 있다는 사실이 규 명되었다. 구체적으로 「추량 근거의 특성」, 「추량 부사와의 공기 관계」, 「증거성 부사와의 공 기 관계」, 「사고 내용화」, 「반사실 조건문과의 공기 관계」 등과 같은 추량 판단에 관련된 용 법에서 진정 추량의 다로우에 근접한 속성을 보인다는 점이 밝혀졌다. 반면에, 순수한 모달리 티의 개념 및 형태 통사적 특성과 관련된 「발화시 이전의 인식」, 「연체 수식절에서의 생기」, 「 객관적 근거의 의존도」 등과 같은 용법에서 의사 추량 형식으로서의 특성을 보인다는 점도 다시 확인되었다. ‘하즈다’의 본질적인 특성이 위와 같이 의사 추량과 진정 추량의 이면성이 있는 것으로 보 아, 이 형식을 ‘진정성 의사 추량 형식’으로 규정한다면, 추량 형식의 유형화와 관련하여, 모 달리티 체계의 조정이 있을 수 있다. 즉 추량 모달리티 체계를 ‘진정’과 ‘의사’의 둘로 이원화 했던 것을 이제는 ‘진정 추량’, ‘진정성 의사 추량’ ‘의사 추량’’의 셋으로 구분하는 것도 가 능할 것으로 이해된다.

목차

Abstract
1. 序論
2. 推量と関わる「はずだ」の先行研究と本稿の立場
2.1. 先行研究
2.2. 本稿の立場
3. 推量モダリティ体系における「はずだ」
4. 「はずだ」の推量用法上の特性
4.1. 真正推量形式への近接を見せる「はずだ」の用法
4.2. 疑似推量形式としての「はずだ」の特性
4.3. 「はずだ」の推量特性
5. 結論
<参考文献>
<국문요지>

저자정보

  • 성호현 Sung ho-hyun. 광운대학교 인제니움학부대학 시간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