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연구논문

그리스도교의 성물의 신학과 물질의 종교

원문정보

Christian Theology of Holy Matter and Material Religion

안연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article focuses on the implications of Christian theology of ‘Holy Matter’, noticing the limitations of research trends centered on notions, ideologies, and subjective meanings, and focusing on the materiality of religion or ‘material turn’ of religious studies. I first looked at the concept of Christian ‘holy matter’, centering on the divine body(hostia) in Christian Eucharist, and then, referring to Bynum’s study of Christian materiality, and examined Christian doctrine and theology of holy matter, which played an important role in medieval Christian devotional life. In conclusion, it can be seen that the Christian soteriology centering on the concept of incarnation, the theology of creation, and the theology of the resurrection of the body works not only for man, but also for the soteriology of material that converts corruptive material into salvational material. And that the salvation of such material is the code of salvation of the whole human being as a material being as well as spiritual being. Thus, Christianity forms a paradoxical meeting point between material and spirituality through the theology of holy matter. Therefore, the theology of the holy matter of Christianity and its associated phenomena can be better understood by recent religious studies by ‘material turn’. It is because the attitude of religion research that sees matter and religion as conflicting dichotomies, or only regards material culture as a secondary product of religion, can not grasp medieval religions as a whole. In addition, the case of medieval Christian holy matter will be an interesting example of revitalizing the direction of new religious studies to capture and adequately describe the phenomenon of religion, in which spirituality and materiality as human phenomena can not be separated.

한국어

이 글은 그리스도교의 성물의 신학이 종교학의 ‘물질적 전환’ 및 ‘물질의 종교’에 대한 최근연 구동향에 시사하는 바에 주목한다. 먼저 성체성사를 중심으로 그리스도교의 ‘성물’의 개념을 검토하고, 그리스도교의 물질성(Christian materiality)에 대한 바이넘(Caroline W. Bynum) 의 연구를 통해, 중세 그리스도교의 신심생활의 중요한 요소였던 성물의 그리스도교 신학적 근 거에 대해 살펴보았다. 결론적으로 창조, 육화, 부활의 신학이 보여주는 그리스도교의 구원론이 인간의 구원뿐 아니 라, 타락의 물질을 구원의 물질로 변환시키는 물질의 구원론으로도 작동하고 있으며, 그러한 물 질의 구원이 다시 물질적 존재로서의 인간 전체의 구원론의 코드가 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처럼 물질과 영성이 역설적으로 만나는 지점을 보여주는 그리스도교 성물의 신학의 의미 는 ‘물질적 전환’을 주장하는 최근 종교연구를 통해 더 잘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물질과 종교의 대립시키는 이분법적 틀, 혹은 물질적인 종교문화를 부차적으로만 여기는 관점으로는 중세 그 리스도교의 역동적이고 다양한 신심생활을 온전히 파악할 수 없기 때문이다. 또한 중세 그리스 도교 성물의 사례는 역으로도 종교현상의 불가피한 구조 안에서 인간적 현상으로서 영성과 물 질성이 분리될 수 없는 현장을 포착하고 기술하려는 새로운 종교연구의 방향에 활기를 불어넣 는 흥미로운 사례가 될 것이다.

목차

요약
Ⅰ. 들어가며: ‘물질적 전환’(material turn)과 종교학
Ⅱ. 그리스도교의 성물 혹은 성스러운 물질
Ⅲ. 중세 그리스도교의 성물의 신학과 구원론
Ⅳ. 맺으며: 성물의 신학, 영성과 물질성의 화해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안연희 Younhee An. 선문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