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used latent profile analysis to identify heterogeneous subgroups with respect to the perception of work environment among workers in residential facilitie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The final model yielded five latent profiles of the perception of work environment: ‘low workload group’ who scored low in time pressure and job responsibility, ‘discrimination perception group’ who scored low in supervisor support and high in sex and academic/regional discriminations, ‘positive perception group’ who scored high in work autonomy and peer and supervisor supports, ‘high workload group’ who scored high in workload, time pressure, and job responsibility, and ‘average group’ who scored average in most areas. In the case of job satisfaction, positive perception group was the highest, followed by average group, low and high workload groups, and discrimination perception group.
한국어
본 연구는 장애인거주시설 종사자의 직무환경 인식에 대한 잠재프로파일유형 및 유형별 특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장애인거주시설 종사자를 대상으로 수집한 국가인권위원회 2014년 설문자료를 분석하였다. 9개의 지표 로 구성된 직무환경 인식을 바탕으로 잠재프로파일분석을 실시한 결과, 5개 잠재집단을 확인하였다. 업무시간 압박도와 업무책임감에서 낮은 인식을 보인 ‘낮은 업무부담 집단(24.5%)’, 직장상사 지지도에 대한 인식이 낮고 성차별과 학연/지 연 차별에 대한 인식이 높은 ‘차별 인식 집단(14.7%)’, 업무자율성, 직장동료 지지도, 직장상사 지지도에 대한 인식이 높은 ‘긍정적 인식 집단(26.8%)’, 업무량, 업무시간 압박도, 업무책임감에서 높은 인식을 보인 ‘높은 업무부담 집단 (8.5%)’, 대부분의 영역에서 중간 정도의 인식을 보인 ‘중간 집단(25.5%)’이 그것이다. 직무만족도의 경우 긍정적 인식 집단이 가장 높고, 중간 집단, 낮은 업무부담 집단과 높은 업무부담 집단, 차별 인식 집단 순이었다. 이러한 분석결과에 기반하여 연구의 함의와 실천적 제언 및 후속연구과제를 제시하였다.
목차
Abstract
1. 서론
2. 연구방법
2.1 조사대상 및 자료수집
2.2 측정도구
2.3 연구모형 및 분석방법
3. 연구결과
3.1 장애인거주시설 종사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3.2 직무환경 인식의 잠재집단 유형 및 주요특성
3.3 잠재집단에 따른 직무만족도 차이
4. 결론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