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수술실 간호사의 언어폭력유형, 정서적 반응과 대처에 대한 융합연구

원문정보

Verbal Violence Type in Operating Room Nurses, Fusion Study on Emotional Response and Coping

오숙희, 선정주, 강희순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is a descriptive study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verbal violence type, emotional response and coping in the operating room nurse.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400 nurses working in 20 general hospitals and 372 nurses in the operating room.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perpetrators of the verbal violence experienced by the subject were physicians, direct supervisors, and more than half of the subjects were considering the transition. The most frequent cases of language violence were when the equipment was inoperable or not used during surger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verbal violence experience according to marriage, clinical career, and work style. Language violence emotional respons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with gender, position and coping, age, academic background, clinical career, and position.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experience of verbal violence and emotional response, emotional response and coping. Theref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coping strategies and prevention education programs.

한국어

본 연구는 수술실 간호사의 언어폭력유형, 정서적 반응과 대처와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 대상은 종합병원 20곳 수술실에 근무하는 간호사 400명을 편의 추출하였고, 총 382부 중 372부가 분석되었다. 분석 결과, 대상자가 경험한 언어폭력 가해자는 의사, 직속상사가 많았고, 대상자의 과반수이상이 이직을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언어폭력이 발생하는 상황은 수술동안 사용해야 할 혹은 사용 중인 장비가 기능을 못할 때가 가장 많았고, 폭력 유형은 반말을 한다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언어폭력경험은 결혼, 임상경력, 근무형태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언어폭 력 정서적 반응은 성별, 직위와 대처와는 연령, 학력, 임상경력, 직위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언어폭력 경험과 정서적 반응, 정서적 반응과 대처간의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는 언어폭력 대처방법 및 예방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일조할 것이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1.2 연구목적
2. 연구방법
2.1 연구설계
2.2 연구대상
2.3 연구도구
2.4 자료 분석
3. 연구결과
3.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3.2 언어폭력경험관련 특성 및 언어폭력 발생상황
3.3 간호사가 경험한 폭력내용
3.4 일반적 특성에 따른 언어폭력경험의 차이
3.5 일반적 특성에 따른 정서적 반응과의 차이
3.6 일반적 특성에 따른 언어폭력 대처와의 차이
3.7 언어폭력유형, 정서적 반응, 대처간의 상호 관련성
4.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저자정보

  • 오숙희 Suk-Hee Oh. 전북과학대학교 간호학과 교수
  • 선정주 Jeong-Ju Sun. 청암대학교 간호학과 교수
  • 강희순 Hee-Sun Kang. 순천대학교 간호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