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In the Mihwangsa(美黃寺) temple of Haenam-gun in Jeollanam-do province, buddhist main buildings(殿閣) of the late Joseon dynasty remain and Buddha statues with iconograph and characteristics of each are enshrined in the building. Main buddhist buildings are the Daeungjeon(大雄殿,Treasure No. 947) building reconstructed in 1784, Eungindang(應眞堂, Treasure No. 1183) estimated to have been built in the similar period, and the Myungbujeon(冥府殿). The Buddha statues enshrined in the buildings have been possibly produced in the 17th~18th centuries. Most of them are sculptures with formality and excellence with characteristics of the times. However, some Buddhist secret objects remain in the Buddhist statues of each building, important items such as votive inscriptions identifying sculpture monk and construction period are almost missing. There are no record about the period when statues built and about the monk who manufactured sculptures. Regarding to sacred Buddha images of the Daeungjeon, the Eungindang and the Myungbujeon, there are records that the Buddha statues of the temple had been gold plating in 1754, and the Buddha image of the Myungbujeon gold plating in 1737. By observing stylistic characteristics and analysis of each Buddhist statue, the sculpture of Daeungjeon was possibly built by sculptor monk Ingyun, the sculpture of Eungindang by monk Eunhye, and the sculpture by the Myungbujeon by monk Saeknan. Three sculptor monks, Ingyun Eunhye and Saeknan, actively worked in the area of Jeollanam-do province in the 17th century, and were the best known sculptor monks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e Buddha images of Mihwangsa temple were constantly built throughout 17th century. The temple was the highlight of prosperity in 17th century. During that period, Buddhist statues were produced, many buildings including main and attached were constructed, Buddhist statues and paintings produced, and major Buddhist events such as gold plating and re-painting on Buddha statues experienced. At present, the remnants of the Mihwangsa temple are Daeungjeon (上樑文) and giant buddhist painting(掛佛) which are the records and works in the 18th century. By analyzing styles of Buddhist sculptures enshrined in the temple, the Buddhist statues were likely to have been produced in the 17th century. This is an important data to complement the history of Mihwangsa temple before the 18th century. As the best well known sculptor monks during that period participated to make sculptures of the Mihwangsa temple, it showed that the temple played locally important position.
한국어
전라남도 해남 미황사에는 주요한 전각이 남아 있고 그 내부에는 각각의 도상과 특성에 맞는 조선후기 불상들이 봉안되어 있다. 주요 전각은 1754년에 중건된 대웅전(보물 제947호), 비슷한 시기로 추정되는 응진당(보물 제1183호)과 명부전이다. 전각에 봉안된 불상들은 대체로 17세기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며 대부분 시대적 특성을 지닌 조형성과 우수성을 지닌 작품들이다. 그러나 각 전각의 불상들에는 일부 복장물은 남아있지만 조각승과 제작시기를 알 수 있는 발원문을 비롯한 중요한 물목은 거의 없어진 상태이다. 즉 상들에 대한 제작연대를 알 수 있는 기록도 거의 없으며 불상을 만든 조각승도 정확하게 밝혀지지 않은 상황이다. 다만 대웅전과 명부전, 응진당의 존상들에 대해서는 1754년 3전각의 불상들을 개금했다는 기록과 1737년 응진당 존상의 개금을 했다는 내용이 남아 있어 하한연대는 확인되는 정도이다. 그러나 각 불상의 양식적 특징과 분석을 통해 명부전은 조각승 印均,, 명부전은 조각승 雲惠, 응진당 존상들은 조각승 色蘭에 의해 만들어졌을 것으로 추정된다. 즉 조각승 인균, 운혜, 색난은 17세기 전라남도에서 활동한 조선후기 최고의 조각승으로 미황사 전각의 존상들 역시 17세기 전반과 중엽경 그리고 17세기후반경 만들어졌을 것으로 판단하였다. 불상들이 제작된 17세기는 주전각과 부속전각, 불상과, 불화 조성, 개금과 개채 등 미황사의 주요불사들이 주도적으로 이루어진 시기로서 미황사의 최전성기라 할 수 있다. 미황사에 남아 있는 유물은 대웅전 상량문과 괘불 등을 통한 18세기의 기록과 작품들이다. 다행히 전각에 남아 있는 불교조각의 양식적 분석을 통해 17세기에 제작되었을 가능성에서 이는 18세기 이전의 미황사의 역사를 보완해주는 중요한 자료가 된다. 또한 여기에 참여한 조각승들은 이 시기 이 지역에서 활동한 최고의 조각승들이라는 점도 당시 미황사의 사격을 짐작하게 하는 요소이다.
목차
Ⅱ. 미황사의 전각별 불교조각과 특징
Ⅲ. 전각별 불교조각의 제작시기 및 조각승의 활동
Ⅳ. 맺음말
국문초록
Abstract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