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특집논문> 금용 일섭과 한국 근대 불교미술

조선 전기 아미타팔대보살도 연구 - 한국 개인소장 <金線描阿彌陀八大菩薩圖>를 중심으로 -

원문정보

A Study on Screen of Amitabha with Eight Great Bodhisattras in Early Joseon Dynasty - Focusing on <Gold-Lined Screen of Amitabha with Eight Great Bodhisattras> Owned by Korea -

조선 전기 아미타팔대보살도 연구 - 한국 개인소장 <금선묘아미타팔대보살도>를 중심으로 -

김형곤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conography and painting style of owned by Korea based on the general matters about current status and perception on production of Screen of Amitabha with Eight Great Bodhisattras during early Joseon Dynasty. In early Joseon Dynasty, although the number of Screen of Amitabha with Eight Great Bodhisattras sharply decreased compared to Goryeo Dynasty, people had enough intention to inherit iconography of Goryeo Dynasty and it continued until 16th century without major changes. There are total of 6 Screen of Amitabha with Eight Great Bodhisattras are known to be remaining from early Joseon Dynasty. Gold-Lined Screen of Amitabha with Eight Great Bodhisattras owned by Korea is one of the 6 remains and it was first released in the special 100th anniversary exhibition of Dongguk University, in 2006. Although more people got interested in Buddhist paintings through the exhibition, the objective information such as painting time, painter, holding institute, and sponsor was omitted and the Gold-Lined Screen of Amitabha with Eight Great Bodhisattras couldn’t get much attention. Gold-Lined Screen of Amitabha with Eight Great Bodhisattras is a sophisticated work which inherits the traditional iconography of Goryeo Dynasty and expresses the characteristics of line-drawing Buddhist paintings from the royal family or royal style during 16th century. It is assumed that the detailed iconography and expressive technique of took owned by Enryakuji, Japan in 1532 as example. The iconography and painting styles of the two paintings help in assuming the location of the owned by Korea. For instance, the methods of expressing the silk, gold, and gilt are easily found in line-drawing Buddhist paintings from royal family during the Queen Munjeong period in 16th century and Gold-Lined Screen of Amitabha with Eight Great Bodhisattras from Enryakuji, Japan in 1532. Among them, the use of gilt filling up the whole space, flower of line-drawing, and various patterns of lightening, wind, wave, and grass are found in owned by Korea, owned by Wontongsa Temple, Japan in 1562, and owned by National Museum of Korea in 1565. Such similar expressions clearly imply that Screen of Amitabha with Eight Great Bodhisattras owned by Korea is not a Buddhist painting produced in a private level. Based on iconography and expressive technique. it is assumed that the owned by Korea was produced in mid-16th century when line-drawing Buddhist paintings from loyal family were actively produced and when line-drawing Buddhist paintings were widely spread. In addition, while owned by Korea seeks the traditionality of line-drawing Buddhist painting where lines fill up the space, few expressive techniques indicate that the painting was not produced directly by the loyal family. Especially, the lines have less elasticity and the space is composed of simplified patterns. Such characteristics show that the royal family and royal painter were not directly involved in the painting and that the painting was produced in the surrounding environment. Meanwhile, owned by Korea has top part and bottom part deviating from the original screen. It is assumed that silks were added on the top and bottom part of the screen when the Buddhist painting were brought to Japan. Also, the writing found on the top part is assumed to be added in Japan. In the writing, Buddhist monk named 久能忠仁 was active around the current Shizuoka region during the Empress Suiko period (592-628) in Japan and it provides the clue for assuming the holding place in Japan. Furthermore, the contents of the writing about ‘Praying for Fortune’ and the writing written in white paper which cannot be easily noticed show how Japan cared about owned by Korea.

한국어

본 연구는 조선 전기 아미타팔대보살도의 현황과 제작인식에 관한 전반적인 내용을 토대로 한 국 개인소장 <금선묘아미타팔대보살도>의 도상과 화풍을 중점적으로 다루는데 목적이 있다. 조선 전기 아미타팔대보살도는 고려시대에 비해 현존 작품수가 급격하게 줄어들었지만, 고려의 도상을 계승하려는 인식이 충분했으며, 16세기까지 큰 변화없이 이어져왔다. 현존하는 조선 전기 아미타팔대보살도는 총 6점이 알려져 있다. 한국 개인소장 <금선묘아미타팔대보살도>는 그 중 한 점으로 2006년 동국대학교 건학100주년 기념특별전 <국보전>을 통해 최초로 공개되어 많은 관심 을 받았다. 전시를 통해 본 불화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지만, 작품의 제작시기, 작가, 소장처, 후원자 등 객관적인 정보가 누락되어 조선 전기 불화에서 주목받지 못했다. 그러나 본 불화는 고려의 전통 도상을 계승하고 16세기 왕실발원 혹은 궁정화풍 선묘불화의 특 징이 고스란히 표현된 상당히 수준이 높은 작품이다. 한국 개인소장 <금선묘아미타팔대보살도>의 세부적인 도상과 표현기법은 1532년 일본 延曆寺소장 <금선묘아미타팔대보살도>를 모본으로 제작 한 것으로 보이며, 두 작품의 도상과 화풍의 관련성은 본 불화의 위치를 추정하게 하는데 많은 도움 을 준다. 우선, 불화의 제작에 사용된 비단과 금, 금니를 표현하는 방식은 1532년 延曆寺본을 포함 하여 조선 16세기 문정왕후 발원 왕실발원 선묘불화에서 쉽게 찾아 볼 수 있다. 그 중 공간을 가득 채우는 금니의 운용과 선묘의 흐름 그리고 뇌문, 마엽문, 수파문, 초문 등 다양한 형태의 무늬는 한 국 개인소장 <금선묘아미타팔대보살도>를 비롯하여 1562년 일본 圓通寺소장 <금선묘약사삼존십 이신장도>, 1565년 국립중앙박물관소장 <금선묘약사삼존도> 등에서도 살펴볼 수 있다. 이러한 표현 의 유사성은 한국 개인소장본이 단순히 민간 차원에서 제작된 불화가 아니라는 점을 분명하게 시 사해준다. 한국 개인소장 <금선묘아미타팔대보살도>는 도상과 표현기법을 통해 16세기 중반 왕실 발원 선묘불화가 활발히 제작되고 난 이후 선묘불화가 확산되는 16세기 중반을 넘어선 시점에 제작 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아울러 한국 개인소장본은 공간을 선묘가 가득 채우는 선묘불화의 전통성을 지향하고 있지만, 몇 가지 표현기법을 통해 왕실에서 직접적인 비호 아래 제작된 불화는 아닌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선의 탄력성이 떨어지고 단순화된 무늬를 통한 공간의 구성력은 왕실이라는 특정 계층과 화사가 직 접 관여하여 제작했기 보다는 그 주변 환경속에서 탄생된 불화로 이해할 수 있다. 한편, 한국 개인소장 <금선묘아미타팔대보살도>는 화면 상부와 하부가 원본의 현상에서 벗어 나 있다. 아마도 일본으로 불화가 건너간 이후 화면의 상·하부에 비단을 덧대어 붙였던 것으로 보이 며, 화면 상부에 등장하는 글 역시 어느 시점에 일본에서 추기한 것으로 보인다. 글 속에 등장하는 일본의 推古天皇(592-628) 때 활동한 승려 久能忠仁(?-?)이 활동한 지역이 현재 일본 시즈오카라 는 점은 한국 개인소장본의 일본내에 소장처를 추정할 수 있는 단서를 제공해준다. 또한, 글의 내용이 ‘축원과 기원’이라는 성격이 담겨져 있는 점과 눈에 띄이는 백서로 쓰여진 점에서 한국 개인소장 <금선묘아미타팔대보살도>의 일본내에서 관심은 적지 않았던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목차

Ⅰ. 머리말
Ⅱ. 조선 전기 아미타팔대보살도의 현황과 제작 인식
Ⅲ. 한국 개인소장 <金線描阿彌陀八大菩薩圖>의 표현과 제작시기
Ⅳ. 도상의 계승
Ⅴ. 공유의 양상과 표현의 한계
Ⅵ. 補絹과 白書銘의 의미
Ⅶ. 맺음말
국문초록
Abstract
참고문헌

저자정보

  • 김형곤 Kim, Hyunggon. 동국대학교 박물관 학예연구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