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From the end of the 19th century, the Japanese Buddhist Order, which came to Korea, established the missionary posts in an open ports carried out active religious and missionary activities. They imported building materials, statues of Buddha, Buddhist altar, utensils for offering directly from Japan, and as the demand for the main material of temple bell and drum increased in the 1910s, they gradually built workshops run by Japanese people. As the missionary posts by Japanese temple were activated in Korea, Korean traditional main temples established the missionary posts in several cities. In the early days, the missionary posts was established by relocating Buddha statues, paintings, bells from its headquarters, but it began to create new statues and Buddha statues from the missionary posts, which was built in the 1930s. Kim Bok-jin, monk artist Ilseop and WanHo were the most famous masters in this period. In addition, Buddhist statues, which were made by monk Sichan, monk Chiik, Lee Sam-chae, and Seizaburo Maruyama[丸山淸三郞], were discovered. There are 40 Buddha staues that show the date of production in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and most of them are small Buddha statues that would be enshrined in missionary posts or a female temple. Around the time when Kim Bok-jin made a large Maitreya Buddha statue in Geumsan Temple in Gimje and Beopju Temple in Boeun in the mid 1930s, the Buddhist sculptures of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can be distinguished. In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the Buddhist statue inherited the Buddhist image from the late Joseon Dynasty, the foreign style from Japan, and the hybrid style combining tradition and foreign elements coexist. Kim Bok-jin's style of Buddha statues became an important model in the reconstruction of temples that were destroyed during the Korean War, and modern times were produced repeatedly and became an important form of Buddha statues.
한국어
19세기 말부터 국내에 들어온 일본의 불교 종단은 개항장을 중심으로 포교소를 세우고 적극적인 신앙과 포교 활동을 진행하였다. 이들은 일본에서 직수입된 건축 자재, 불상, 불단, 공양구 등을 직수입하다가 1910년대 범종이나 금고 등의鑄成品이 국내에서 수요가 많아지면서 점차 재조일본인이 운영하는 공방을 중심으로 제작하였다. 일본 사찰에서 운영하는 포교소가 국내에서 활성화되면서 국내 전통사찰에서 본사를 중심으로 여러 도시에 포교당을 건립하였다. 포교당은 초기에 본사에서 불상, 불화, 범종 등을 이운하여 설립되다가 1930년대 건립된 포교당부터는 새로게 불상과 불화 등을 조성하였다. 이 시기에 활동한 대표적인 작가는 김복진, 일섭, 완호 등이다. 이외에도 시찬, 치익, 이삼채, 丸山淸三郞 등이 만든 불상이 조사되었다. 20세기 전반 제작연대를 알 수 있는 기년명 불상은 40건으로, 이 시기 제작된 불상은 포교당이나 암자 등에 봉안할 소형 불상이 주류를 이룬다. 1930년대 중반 김복진이 김제 금산사와 보은 법주사에 대형 미륵불상을 만든 시기를 전후하여 20세기 전반의 불교조각을 시기 구분할 수 있다. 20세기 전반 불상은 조선후기 불상 양식을 계승한 전통 양식, 일본에서 들어온 외래 양식, 그리고 전통과 외래 요소가 결합한 혼합 양식이 공존한다. 김복진이 만든 불상 양식은 한국전쟁 중에 파괴된 사찰의 중창과 중건 시 중요한 모본이 되면서 현대까지 반복적으로 제작되면서 중요한 불상 양식으로 자리잡게 된다.
목차
Ⅱ. 20세기 전반 紀年銘 불상
Ⅲ. 20세기 전반 불상의 양식 분류
Ⅳ. 맺음말
국문초록
Abstract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