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고전시가에 표출된 ‘달’ 이미지 비교를 통한 한국 고전문학사 교육 방법 - 중국인 고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

원문정보

The Education Method of Korean Classical Literature History by Comparing “Moon” Imagery in Classical Poetry - For Chinese Advanced Learners -

김영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Journal of the International Network for Korean Language and Culture 16-2, 65-92. The study aims to present a way to teach Korean classical literature history to advanced Chinese learners by comparing images of the “moon” as expressed in classical poetry. The image is based on the literary customs of the poetic genre or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of the period. The time-honored examination of images of the same object in a work is meaningful, in that classical poetry can be a consistent glimpse into the cultural background, or the flow of literary history, inherent in the work. This is because even within the same culture,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imagery of objects that change according to time. The following are examples of “moon” imagery that the classical poem e mbodies. In Hyangga, the imagery of “sublime” is prominent, in terms of shamanistic, religious, spiritual, and personal aspects. In Goryeo song, the sentiments of the poetic speaker were projected. In Sijo, it becomes a space-time background of solitude, a key element of the enjoyment found in reading and writing poetry in the bright moonlight and breeze, and a symbol of one’s lover. The teaching method, examined in this study, begins with discovering the differences in imagery by comparing various poems. Thereafter, the expression methods of the imagery are compared. In assessing these variances between texts, Chinese learners can discover how this imagery, and literary consciousness, has changed over time. Ultimately, Chinese learners will be able to consider trends in Korean classical literature history. (Seoul National University)

한국어

이 논문은 중국인 고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고전시가에 표출된 ‘달’ 이미지 비교를 통한 한국 고전문학사 교육 방법을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미지의 전개 양상은 향유 당대의 문화적 특성이나 시가 장르의 문학적 관습에 의해 이루어져 있다. 문학 작품에서 동일한 대상의 이미지를 시대적으로 살피는 것은 문학 작품에 내재(內在)되어 있는 문화적 배경이나 문학사의 흐름을 통시적으로 관찰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의의가 있다. 그 이유는 동일한 문화권 안에서도 개인의 차이를 제외하고도 시간의 흐름에 따라 대상에 환기하는 이미지의 차이가 존재하기 때문이다. 고전시가 속 형상화된 ‘달’ 이미지를 통시적으로 살펴보면, 향가에서는 주술·종교·정신·인격적 측면으로 숭고미가 두드러지고, 고려가요에서는 시적 화자의 정서가 투사되었으며, 시조에서는 인간과 어울리는 친근한 존재로서, 고독의 시공간적 배경, 음풍농월의 핵심 요소, 강호한정의 주된 의상(意象), 그리운 임의 상징 등으로 다양한 이미지를 지니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고전시가에 표출된 ‘달’ 이미지 비교를 통한 한국 고전문학사 교육 방법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는 텍스트 간 비교를 통한 이미지 차이 발견이고, 둘째는 텍스트 간 비교를 통한 표현 방법의 차이 발견이다. 중국인 학습자는 텍스트 간의 비교를 통해 시대에 따른 이미지의 변화 양상이나 이미지 형상화 방법을 발견할 수 있고, 의식의 변화도 읽어낼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는 한국 고전문학사의 흐름을 살펴볼 수 있을 것이다.

목차

Abstract
1. 서론
2. 이미지와 문학사의 관계
3. 고전시가에 나타난 ‘달’ 이미지 표출 양상
3.1. 향가에 표출된 ‘달’ 이미지
3.2. 고려가요에 표출된 ‘달’ 이미지
3.3. 시조에 표출된 ‘달’ 이미지
4. 고전시가에 표출된 ‘달’ 이미지 비교를 통한 한국고전문학사 교육 방법
4.1. 텍스트 간 비교를 통한 이미지 차이 발견
4.2. 텍스트 간 비교를 통한 표현 방법의 차이 발견
5. 결론
참고문헌
국문초록

저자정보

  • 김영 Jin Ying. 서울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