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교통복지측면에서 도심주차문제 개선에 관한 입법적 검토

원문정보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Urban Parking Problem in Terms of Transportation Welfare Legislative Review on

신평우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arking problems of modern life are more serious in old-fashioned areas, the more old apartments, and the more crowded residential areas. So solving the problem of the shortage of parking lots is the most effective means of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for residents. However, the current parking lot law not only makes it difficult to construct (underground) parking lots for old apartments, apartment complexes, public institutions, and public facilities, but also lacks legal grounds for sharing parking lots for public facilities after the residents' priority areas, weekends, or work hours, making it difficult to resolve the problem of falling behind the parking lot. The current parking policy, based on the parking lot law, has been carried out mainly by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for the first time, as with other transportation policies, and by sequentially introducing it in provincial cities while watching its progress. Therefore, if you look at the cross-section of the view on the operation of the parking lot system, the reason for the parking problem was that it was perceived only as negative product as the coming of the motor vehicle era, and thus had approached the parking problem with a simple and passive policy. Recently, however, while re-recognizing the seriousness of the parking problem, due to the lack of active participation by residents and the time and cost of solving the parking problem in the near future, only fragmentary government-led initiatives have not had a satisfactory effect. In addition, the domestic parking policy has recently strengthened the criteria for installing parking lots more than before through the revision of relevant laws and regulations, and is actively pursuing the management of parking demand by region.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have been more aggressive than in the past by strengthening the standards for installing parking lots for buildings and installing joint parking lots for areas lacking existing parking facilities through the revision of the Parking Law and parking-related ordinances. However, because of the nature of parking problems, the limitations of simply strengthening laws and even ballooning effects such as illegal parking exist, this study is urgently needed to improve the system through various legislative reviews at the government level based on the premise that the solution of parking problems can be achieved through the reversal of views. Therefore, the relatively concise points of the various contents presented in the preparation of this research paper are as follows, at the level of amending the current parking lot act or related statutes. First, Article 21 Clause 3 of the Parking Lot Act was newly established to maximize the efficient use of space, so that "the government can induce or enforce the construction of underground parking lots, including parking spaces, for public institutions or schools during idle hours, and local governments can provide support for the installation or operation of parking lots where parking lots are opened for general use in idle hours in apartments, religious facilities and commercial facilities with their own cause of death." Second, the Land Transport Minister established Article 29 paragraph 9 of the Act on Planning and Use of National Territory for the purpose of increasing supply for the virtuous cycle of supply increase, demand management and consolidation by actively excavating the unexecuted park sites that will be deregulated by the sunset next year, and added, "The Land Minister intends to utilize the land for parking lots for long-term use by the relevant municipal and county planning facilities. Also, the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Minister shall subsidize the cost of constructing parking lots underground when executing park land among long-term unexecuted urban and military planning facilities." Third, in order to secure high-density public parking lots in a crowded urban area, we hope to supply high-density mechanical parking lots (up to 100 pages on 50 pyeong, valet parking service) to areas within a two-minute radius based on urban renewal New Deal areas. In addition, other legislative considerations may be used to address the problem of the site of the parking lot with the use of special support for urban renewal projects and other amendments. Article 30 (disposal of national property, public property, etc.) of the Special Act on Urban Regeneration Act activation and support, Article 31 (Exception of taxation and levies), and Article 32 (Exception on mitigation of building regulations) are utilized to secure land for public parking lots, to solve parking problems and to revise relevant laws for construction through construction cost assistance or private capital inducement.

한국어

현대생활의 주차문제는 구도심일수록, 노후아파트일수록, 주택가 밀집지역일수 록 심각하다. 그래서 주차장 부족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주민들의 삶의 질을 높이는 가장 효과적인 수단이다. 그런데 현행 주차장법은 노후아파트, 공동주택지역이나 공공기관 및 공공시설물 등의 (지하)주차장 건설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거주자 우선지역, 주말이나 퇴근시 간 이후 공공시설물의 주차장 공유에 대해서도 법적 근거가 미비하여 주차장 낙후 문제의 해결에 어려움이 있다. 주차장법을 기반으로 한 현행 주차정책은 다른 교통정책과 마찬가지로 주로 서 울시가 최초로 도입하고, 이의 진행상황을 지켜보면서 순차적으로 지방도시에서 도입하는 방법으로 진행되어 왔다. 따라서 주차장제도운영에 대한 시각의 단면을 보면, 주차문제의 원인이 본격적인 자동차시대 도래에 따른 부정적인 산물정도로만 인식하여 주차문제에 대해 단순하고 소극적인 정책으로 접근해오고 있는 실정 이었다. 그러나 최근 들어서는 주차문제의 심각성을 재인식하고 있으나, 단 시일 내에 주차문제를 해결하기에는 시간과 비용이 만만치가 않고, 적극적인 주민들의 참여 가 부족하여 단편적인 관주도의 시책만이 추진되고 있어 만족할 만한 효과를 거두 지 못하고 있다. 또한, 최근 국내 주차정책은 관련법규의 개정을 통하여 종전보다 주차장 설치기 준을 매우 강화하고 있으며, 아울러 지역별 주차수요관리를 적극 추진하고 있는 실 정이다. 중앙정부 및 지방자치단체들은 주차장법 및 주차관련 조례 개정을 통하여 건축물 부설주차장의 설치기준을 강화하고, 기존 주차시설 부족지역에 대해서는 공동주차장을 설치하는 등 과거보다 적극적으로 대응을 하고 있다. 하지만, 주차문제 특성상 단순한 법령의 강화만으로는 한계성이 분명히 존재하 고, 불법주차 등 풍선효과마저도 우려되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시각의 대전환을 통해 주차문제해결이 교통복지를 이룩할 수 있다는 대전제를 기반으로, 정부차원의 다각적인 입법적 검토를 통한 제도개선이 시급히 필요한 시점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논문을 작성하면서 제시되었던 다양한 내용 중 비교적 간명한 사 항에 대하여 현행 주차장법이나 관련 법령을 개정하는 수준에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로, 공간 활용을 효율적으로 극대화하기 위하여 주차장법 제21조제3항을 신 설하여, “국가는 공공기관이나 학교 등 공공시설물에 대하여 유휴시간대에 주차장 공유를 비롯한 지하주차장건설을 유도하거나 강제화할 수 있으며, 지방자치단체는 사인이 소유권을 가진 공동주택・종교시설・상업시설에 설치된 주차장이 유휴 시간 대에 일반이 이용할 수 있도록 개방되는 경우 이에 따른 주차장의 시설 설치 또는 운영에 필요한 비용을 보조하거나 지원할 수 있다”와 같이 규정한다. 둘째로, 내년에 일몰제로 일제히 규제가 풀리는 미집행 공원부지 등을 적극적으 로 발굴하여, 공급증대・수요관리・단속강화로 이루어지는 선순환구조를 위한 공급 증대 목적으로 관련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제29조제9항을 신설하여, “장기미집행 도시・군계획시설에 대하여 해당 관할 지방자치단체가 주차장부족으로 해당 부지를 주차장용도로 활용하고자 할 때에는 국토교통부장관은 용지의 보상비 용을 지방자치단체에게 지급하여야 한다. 또한 국토교통부장관은 장기미집행 도 시・군계획시설 중 공원용지에 대한 집행시 지하에 주차장 건설비용을 보조해 주어 야 한다”와 같이 규정한다. 셋째로, 복잡한 도심 밀집지역에 고밀도 공공주차장을 확보하기 위해 도시재생 뉴딜사업 지역을 기반으로 도보 2분 이내인 반경 150m이내 지역에 고밀도 기계식 주차장(150평에 최대100면, 발렛파킹주차서비스)을 공급하여 교통복지의 첫걸음을 내딛었으면 하는 바램이다. 또한, 그 밖의 입법적 검토사항으로 도시재생사업특례 지원 사항 활용 및 타법 개정으로 주차장 부지문제를 해결하고자 할 수도 있다. 도시재생 활성화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 제30조(국유재산, 공유재산 등의 처분), 제31조(조세 및 부담금의 감 면 등), 제32조(건축규제 완화 등에 관한 특례)를 활용하여 공공주차장 부지를 확 보하고, 효율 높은 고밀도 주차장을 건설 운영하여 주차문제를 해결하며, 건설비 보조 또는 민간자본 유치를 통한 건설시 관련법 개정 역시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현황 및 시사점
Ⅲ. 주차정책 및 해외사례
Ⅳ. 개선방안 및 입법제언
Ⅴ.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신평우 Shin Pyeong Woo. 명지전문대 교수(법학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8,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