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한국형 작업균형 평가도구 개발

원문정보

Development of Korean Occupational Balance Assessment(K-OBA) Tool

홍소영, 홍덕기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assessment tool to measure Korean occupational balance. Methods : From March 2017 to July 2019, preliminary questionnaire was prepared through analysis of previous research and expert focus meeting, and preliminary questions were selected through the Delphi survey. In order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items, Rash analysis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persons and items fitness, the distribution of item difficulty, separation reliability, and the appropriateness of the rating scale. Results : Among 141 subjects, 9 (6.38%) in time use and 11 (7.80%) in the occupation area were inappropriate subject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appropriateness of the items except for the inappropriate subjects, the 3 items were judged as ineligible items, but 1 item of the occupation characteristics was finally deleted based on the theoretical and clinical grounds. In the analysis of the scale, 4 points were more appropriate than the 5 point scale, and the separation reliability was .86~.94. Finally, 3 categories (time use, occupation area, occupation characteristics) and 18 items were selected. Conclusion : The occupational balance assessment tool was selected three categories and 18 questions finally, three categories and 18 questions, and was developed on a four-point Likert scale. Further research needs to prove the concurrent validity of the K-OBA and to analyze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occupational balance.

한국어

목적 : 본 연구는 한국형 작업균형을 측정할 수 있는 평가도구를 개발하고자 실시되었다. 연구방법 : 2017년 3월부터 2019년 7월까지 선행연구 분석, 전문가 포커스 회의를 통해 예비문항을 작성하였고, 2차의 델파이조사를 통해 예비문항을 선정하였다. 문항의 타당성 검증을 위해 라쉬분석을 실시하여 대상자 및 문항적합도, 문항난이도, 평정척도, 분리신뢰도를 분석하여 최종문항을 도출하였다. 결과 : 조사대상자 141명 중 시간사용에서 9명(6.38%), 작업영역에서 11명(7.80%)이 부적합 대상자로 나타났다. 시간사 용 적합대상자 132명, 작업영역 적합대상자 130명을 대상으로 문항의 적합도를 분석한 결과 3개 문항이 부적합 문항 으로 판정되었으나, 이론 및 임상적 근거에 기초하여 최종적으로 작업특성 영역의 1개 문항을 삭제하였다. 문항의 난이도 분석에서 당신은 가정 내에서 다른 사람을 위한 활동에 사용하는 시간의 양은 어떠합니까?, 당신은 정규교육 이나 관심분야를 위한 교육을 받고 있습니까? 문항이 높은 난이도를 보였다. 평정척도 분석결과에서는 5점 척도보 다 4점 척도가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고, 분리신뢰도는 .86~.94이었다. 최종적으로 3개 범주(시간사용, 작업영역, 작 업특성), 18개 문항이 최종 선정되었다. 결론 : 작업균형 평가도구는 3개 범주 영역, 18개 문항을 최종 선정하였고, 4점 리커트 척도로 개발되었다. 추후 연구에 서는 작업균형을 측정하는 다른 평가도구와의 상관관계를 통해 공인타당도를 입증하고, 작업균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는 추가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1. 연구과정 및 방법
2. 연구 대상
3. 자료 분석
Ⅲ. 연구 결과
1. 예비문항 개발 결과
2. 예비문항 타당도 결과
3. 라쉬분석 결과
Ⅳ. 고찰
Ⅴ. 결론
REFERENCES
Abstract

저자정보

  • 홍소영 Hong, So-Young. 고신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홍덕기 Hong, Deok-Gi. 원광대학교 작업치료학과, 건강증진연구소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9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