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이주 작곡가 정추와 정율성의 교유 및 음악적 연대 - 정율성 서신을 중심으로(1952~1959)

원문정보

A study on Emigrant Composers’ Musical Intercourse – Between Ten Chu and Jung Yul Sung

정철훈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不歸, called Boolguee in Korean, which means that someone never comes back to the original place where he/she is born or lives. It symbolizes for both Jung Yul Sung (Chinese: 郑律成, Zheng Lücheng ; Korean: 정율성) who was a Korea-born Chinese composer and Ten Chu who was a Korea-born Kazakh. Jung Choo who worked in Kazakhstan did not go back to North Korea either like Jung Yul Sung who mainly worked in China after studying abroad. Their story began in the hometown, GwangJu, however, put an end to the exotic and mysterious destination that we called “Boolguee.” The time they had spent together in Gwangju was very short, but their mental bondage was strong enough to connect within Almaty, Kazakhstan and Beijing, China for the rest of their lives. During the severe decades, the lives between Jung Yul Sung and Ten Chu were full of ups and downs in foreign lands as artists and were extremely similar to each other. In a sense, they shared a lot of similarities in lives and through musical histories. Actually, the document that could prove two musicians’ social intercourse has not been found and released in public yet. After death of Ten Chu in June 2013, four letters from Jung Yul Sung were found in his house, Almaty, which might prove that their special relationship had continued for almost 30 years. Due to the fact that they had been from the same hometown Gwangju and they had shared the same last name which meant they might be the relatives, we could not identify the true meaning of their relationship and their musical accomplishments. Jung Yul Sung wanted to know the musical direction of younger composer’s in Moscow from Ten Chu through mail. He also wanted the culture and musical color of Moscow because Moscow’s culture led to the top in the world at that time. The music of Beijing had preferred pop music based on public propagandas. Therefore, he treated Moscow as the place where he could check cultural trends of music to be and Ten Chu as a messenger for himsel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is very meaningful not only for their personal relationship but also for their social and cultural factors. In wars and general chaos, they kept their dignities and left numerous artworks as legacy. Also, It has been revealed that the letters have become important material evidence of artists who had stayed with them in China and Soviet Union at that time.

한국어

불귀(不歸). 이 엄중한 단어는 정율성과 정추를 동시에 표상하는 기호이다. 카자흐스탄에서 활동한 정추 역시 중국에서 활동한 정율성과 마찬가지로 북조선에 돌아가지 않았다. 두 사람은 광주라는 하나의 고향에서 출발했고 그들의 종착역 역시 불귀라는 미혹의 장소였다. 두 사람이 같은 공간에서 함께한 세월은 비록 짧았지만, 정신적 연대감은 알마티와 북경을 잇기 충분했다. 가혹한 시기에 타국에서의 파란만장한 삶과 예술가로서의 궤적은 같이 한다. 그런 의미에서 두 사람은 음악사적으로나 생애사적으로 닮은 데가 많다. 두 음악가의 교유 및 음악적 연대를 구체화할 문서는 지금껏 공개되지 않았다. 그러나 정추 사후인 2013년 6월 알마티 자택에서 발견된 정율성의 서신 네 통을 토대로 두 사람의 관계가 30여 년간 지속되어 왔으며 본관이 같다는 점과 고향이 광주라는 것으로 인해 축소된 두 거장의 교유가 가지는 진정한 의미를 짚어보고 있다. 정율성은 정추를 비롯해 모스크바에 유학 중인 후배 작곡자들의 동향을 알기 원했고, 모스크바의 음악적 수준이나 사조를 놓치지 않으려고 신경을 곤두세웠다. 당시 북경의 음악이 대중선전선동을 전제로 한 이른바 공공성의 음악이었기 때문이다. 정율성은 모스크바의 정추를 자신의 음악이 세계적인 사조와 뒤떨어지지 않았는가를 점검하는 메신저로 여겼다. 이 두 음악가의 교유는 개인적 차원뿐만 아니라 사회·문화적으로도 유의미하다. 역사의 소용돌이 속에서도 음악가로서 품위를 잃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많은 작품을 남겼다는 점, 그리고 이들의 서신을 통해 소련과 중국이라는 이국땅에서 삶을 살아간 예술가들의 행적을 엿볼 수 있다는 차원에서 중요한 사료가 아닐 수 없다.

목차

국문초록
Ⅰ. 시작하는 말: 연구목적
Ⅱ. 정추에게 스포소빈의 ‘음악형식론’ 번역을 권유한 정율성
Ⅲ. 정율성의 전사(前史)
Ⅳ. 정율성과 정준채·정추 형제의 교유
Ⅴ. 정율성 서신에 나타난 정추와의 음악적 연대
Ⅵ. 맺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정철훈 Jung, Cheol-Hoon. 유라시아문화연대 부설 유라시아연구소장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9,9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