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Gendered Labor of Women Artists and Arts Managers - Patriarchial care-work demand and stigmatized work ethic -
초록
영어
The arts and cultural sector is one of where women workers occupy a significant part of the labor market. Statistical data on dominance of women in professional artist education and high percentage of women working in this field have the effect of misleading people to think that it is a relatively well achieved field in gender eqyality. Labor in the arts sector is peculiar in that it is based on independent artist’s creative process or a small sized artistic production and free-lancing exercise. All of theses characteristic do not well conform with the modern-industrial definition of labor. Since most of Korean gender eaquity policy, especially the work-family balance policy. Not only that the work-family balance policy is grounded on the patriarchal premise but also assume that labor and care taking (care work) is mutually exclusively seperable. It is also the result of feminizing artists and the arts managing jobs for women with patriarchal paradigm. This paper interviews twenty one artists and arts managers to descibe the situation of gendered situation. Women artists are expected to acknowledge their job as a ‘caring mother’ in their jobs as in a patriarchal family. This kind of patriarchally feminized situation makes women workers more vulnerable to sexual harassment. Paradoxially, ‘caring mother’ role of real life is expilictly denided in that even legitimate exercises of child-care policy are denounced in the work place. Evidences and finding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reframe the paradigm of gender equity policy for women artists and arts managers in the sphere of labor equity and care-taking.
한국어
예술분야는 여성의 활동비중이 큰 분야 중 하나이다. 그러나 여성이 고등교육에서 차지하는 큰 비중과 여기서 이어지는 직업으로서의 활동 비율이 타 분야에 비해 높다는 피상적인 인식 때문에 성평등에 대한 착시를 일으키고 아울러 면밀한 분석의 대상에서도 누락되는 경우가 있다. 예술활동은 개인의 창의적 가치를 중심으로 1인 창작이나 소규모집단의 창작이 대규모 조직을 기반으로 하는 활동보다 비중이 높다. 또한 프리랜서형태로 일과 가정의 경계가공간적으로나 심리적으로 느슨한 상황에서 활동이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은 특성이 있다. 이것은 기존의 일-가정 양립제도가 전제로 하는 공사영역의 배타적인 구분이나 근대적 산업사회 모델이 적용되기 어려운 근거가 된다. 또한이념적으로는 가부장제의 성별화된 ‘모성’의 가치를 실천할 것을 요구받으면서 실제 생활에서는 육아와 같은 돌봄노동에서 ‘모성적’ 행위는 사회적으로 징벌하는 상황에 놓여있다. 이 논문은 다양한 분야에서 일하는 여성예술기획자의경험을 통해 이러한 현상이 어떻게 드러나고 있는가를 파악한다. 아울러 문화예술분야의 노동특성이 기존 여성학 연구에서 부딪치는 한계를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가능성의 단초를 탐색한다.
목차
Ⅰ. 문제의 제기
Ⅱ. 예술계 노동의 특징
Ⅲ. 여성 예술기획자에게 직업은 어떻게 성별화되는가
1. 돌봄의 성별화와 이중성
2. 돌봄의 성별화와 남성중심주의 직업윤리의 충돌
Ⅳ. 예술기획 직업을 통한 일-가정 양립 패러다임 다시보기
REFERENCES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