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is a basic study on the famous literati of Nolon Byeogpa, Yun Deugbu. He posted an appeal in 1784 which defined his political power as Byeogpa. There is no pre-research which deals exclusively with Yun. He has been mentioned as a major member of Byeogpa in the political history in Jeongjo era. In this paper, it was reviewed poems and prose of Sinamjib, a manuscript collection of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and translated and introduced several short stories that would enable Yun's life to be restored and the basic understanding of his life. Through this, it was able to reveal his new aspect who was known as a Byeogpa politician. As a descendant of Yun Geunsu, he was influenced by the scholarly trend of the ancestor, who was interested in Euigopa of late Ming, and was sensitive to trends in the academic world. In his early years, Yun was interested in Western culture and the culture of the chief culture of Gyeonghuasejog. There is a collection of miscellaneous items similar to Yun Geunsu's "Waljeongmanlog" in Sinamjib. His brothers were undergraduates of Bag Pilju, who himself subsided in his research on Neo-Confucian studies, exchanged letters with contemporary scholars including Kim Wonhaeng, and left numerous writings related to the Neo-Confucianism. In addition, he was interested in Yeohang literature due to the influence of his private tutor, Bag Changwon. In addition, he was interested in Yeohang literature due to the influence of his private tutor, Bag Changwon. After passing the civil service exam, he wrote articles that represented the positions of his political faction, including appeal in 1784, the a life story of Yun Sidong, and mourning poem of Eo Yonggyeom.
한국어
이 논문은 노론(老論) 벽파(僻派)의 대표적 문인 윤득부(尹得孚)에 대한 기초적 인 연구이다. 윤득부는 1784년 상소를 올려 자기가 속한 정치세력을 벽파라고 규 정한 인물이다. 윤득부를 독자적으로 다루고 있는 선행 연구는 아직 진행되지 않 았고, 정조 연간 정치사 연구에서 벽파의 주요 구성원으로서 언급된 바 있다. 이 논문에서는 국립중앙도서관 소장 필사본 『신암집(信菴集)』 소재 시와 산문을 검토 하여 윤득부의 생애를 재구하고 윤득부에 대한 기초적인 이해를 진작할 수 있는 몇몇 단편을 번역, 소개하였다. 이를 통해 벽파 정치인으로 알려진 윤득부의 새로 운 면모를 밝힐 수 있었다. 그는 윤근수의 후손으로 명말 의고파에 관심을 갖고 명말 학계의 동향을 민감하게 받아들였던 선조의 학풍의 영향을 받았다. 윤득부의 초년기에는 서양문물에 대한 관심과 당시 경화 세족의 수장 문화의 자장이 감지된 다. 『신암집』에는 윤근수의 월정만록과 유사한 성격의 잡록도 문집에 수록되어 있다. 그와 형제들은 박필주(朴弼周)의 문인이었고 그 자신도 성리학 연구에 침잠하여 김원행(金元行) 등 당대 성리학자들과 서신을 교환하였다. 문집에 이와 관련 한 저술을 대거 남기고 있다. 또한 그는 숙사였던 박창원(朴昌元)의 영향으로 여항 문학(閭巷文學)에도 관심을 가졌다. 문과 합격 이후에는 노론 벽파의 일원으로서 1784년의 상소문, 윤시동의 행장, 어용겸에 대한 만시 등 자기가 속한 정파의 입장 을 대변하는 글을 작성하였다.
목차
1. 서론
2. 윤득부의 생애
3. 『신암집』을 통해 본 문학적 특징
1) 당대 유행에 대한 흥미
2) 노론 청류에 대한 공감
3) 여항인에 대한 기록
4.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