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연구논문]

공간 정치의 서사적 재현 비교 연구

원문정보

A comparative study of narrative reproduction of spatial politics

이평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At first glance, the cityscape that appears in modern novel seems to be meaningless at first sight. It is, however, very meaningful to read through the novels the political factors that produce the dynamic power, social changes, and complex elements that create the power of culture hidden in such simplicity. After the 1990s, in the reality of 2012, the cityscape of Korean society is different from before. The 2000s landscape where the expectations of the new century intersected and the phenomenon that we have witnessed since then, such as the deepening desire and frustration of the subject, the opportunity and loss of freedom, economic oppression and excessive enthusiasm, and globalization are reflected in this novel . From this point of view, reading the scenery of the city recreated in Herman Melville ‘s “Scribbler Bartleby” and Hye-young’ s novel is a faithful search for the result of the complex perception of the modern capitalist society. It is an important task to exploit the characteristics of ‘city’ reproduced in literary works in an integrated way through the process of transferring into the subconscious, psychological, and political activities of the subject. This will be a valid basis for understanding and explaining the cultural and political space reproduced in literature beyond the limits of specific text analysis.

한국어

이 논문은 공간 정치의 서사적 재현 양상을 비교하고 있다. 소설에 나타난 도시 경관은 일견 무의미해 보인다. 그러나 그런 단순함 속에 은폐된 역동적인 정치, 사회적 변화, 문화의 힘을 불러일으키는 복합적 요소들, 즉 권력을 생산 하는 정치적 요소들을 소설을 통해 읽어 내는 것은 매우 의미 있는 작업이라고 할 수 있다. 1990년대를 거쳐 2012년 현실에서 한국 사회의 도시 풍경은 이전 과는 사뭇 다른 모습을 하고 있다. 새로운 세기의 기대와 허무가 교차했던 2000년대 풍경과 이후 목격했던 현상 즉, 주체의 심화된 욕망과 좌절, 자유의 기회와 상실, 경제적 억압과 과도한 열정, 세계화 같은 것들은 이 시기 소설에 그대로 반영되어 있다. 이런 관점에서 보면, 허먼 멜빌의 「필경사 바틀비」와 편혜영의 소설에 재현된 도시의 풍경을 읽는 것은 현대 자본주의 사회에 대한 복잡한 인식의 여과과정을 거친 결과에 대한 충실한 탐색이라고 할 수 있다. 문학 작품에 재현된 ‘도시’의 특성을 주체의 무의식과, 심리적, 정치적 행위로 전이되는 과정을 통합적으로 탐색하는 것은 무엇보다도 중요한 과제라고 할 수 있다. 이는 특정 텍스트 분석의 한계를 넘어 문학 속에 재현된 문화정치학적 공간을 이해하고 설명하는데 유효한 근거가 될 것이다.

목차

요약
1. 도시 공간의 문화정치학
2. 영속화된 죽음과 소비 주체
3. 자본 질서와 주체의 재건
4. 잉여의 신체와 그 잔해
5. 결론을 대신하여
참고문헌

저자정보

  • 이평전 Lee, Pyeong-jeon. 서원대학교 국어교육과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