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제주 신화 콘텐츠를 활용한 도내 테마 공원 사례와 그 방안 모색

원문정보

A Case Study on Jeju Theme Park Based on Jeju mythology Contents

김은정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A new era has begun where various story based culture content is being developed as a high value added industry for the future. The pace of development of cultural tourism is thus increasing exponentially. Myths are becoming the main subject for creating entertaining culture content and story telling themes for the tour industry and various fields relating to culture content. Jeju with its booming tourism industry as its primary enterprise is no exception. Jeju is developing its own cultural content in various fields of the tourism industry for both domestic and foreign tourists and they are being used in a variety of ways throughout the industry. It is said that about 18,000 gods and goddesses used to exist in Jeju and their stories have been passed down by word of mouth throughout the villages in Jeju by the elders and shamans of Jejudo. Some would say that Greek Mythology is the most prolific and well known written mythologies. Then, you can very likely say that Jeju has an unparalleled oral mythology tradition which are mysterious and diverse. Jeju Mythologies may at risk of being buried and disappearing as just a part of history. However, they are recently being studied actively within the storytelling field locally. Many studies previously focused on the story telling tourism industry based on Jeju mythologies. However, this study focuses on a theme park based on Jeju mythologies. This study, particularly, focuses on the basic element of how Jeju Mythologies are appled to the theme park and showed to tourists, and aims at exploring ways in which mythologies are applied to cultural content by collecting and analyzing actual examples rather than relying on hypothesis alone. Jeju Mythologies are good in that they contain both ‘universality’ and ‘speciality’ which are the main elements of mythologies. Therefore, it is our job to enhance the Jeju mythologies as cultural products based on their advantages. To do this, Jeju should build infrastructures for using the mythologies of Jeju and expand the spatial story telling field. It would not that be difficult to brand Jeju based on the Jeju Mythologies.

한국어

이제, 우리 사회는 미래의 고부가가치의 산업으로 이야기를 중시하는 문화콘텐츠 개발의 시대가 열렸다. 이로 인해 문화콘텐츠를 이용한 산업은 나날이 발전하고 있 다. 최근 문화콘텐츠의 여러 분야에서 신화는 중요한 문화원형으로써 또는 스토리텔 링 원천 소스로써 자주 활용되고 있고 이런 현상은 더욱 가속화될 전망이다. 관광산 업이 주축인 제주 지역도 예외는 아니다. 국.내외 관광객을 대상으로 다양한 분야에 서 제주만이 가질 수 있는 독특한 콘텐츠를 개발해내고 많은 분야에서는 이미 활용되 고 있다. 제주는 1만 8천여 신들이 존재했고 그 이야기는 지금까지 제주 곳곳에서 생생하 게 구비 전승되고 있다. 그리스로마 신화가 기록신화의 최고라고 한다면 제주에는 세 계 최고의 구비신화라고 해도 손색이 없을 만큼 신비롭고 다양한 이야기가 존재한다. 자칫 옛것이라는 명목 하에 묻힐 수도 있었던 제주 신화는 최근 들어 스토리텔링 분야와 연관되어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다. 제주신화를 활용한 스토리텔링 산업도 여 러 시도를 하였는데 본 연구에서는 특히 제주신화를 활용한 테마 공원에 주목하였다. 특히 본고에서는 가장 기본적으로 제주신화를 공원에 어떻게 활용하여 관람객들에게 보여 지는지에 초점을 맞추었고, 이론을 적용하기보다 실제 구연되고 있는 사례를 취 합하고 그 방안을 모색하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제주신화는 지역의 문화콘텐츠 개발에 중요한 요소로 이미 활용되고 있고 이는 지 역경쟁력을 강화하고 나아가 우리나라의 특화된 콘텐츠로 범위를 확대할 수 있는 계 기를 충분히 마련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먼저 제주도의 여러 설화자료 활용기반 을 구축하고 제주신화를 활용한 공간 스토리텔링 방안을 더욱 확대하여 나아가야 하 겠다. 이를 바탕으로 제주신화 자체만으로 브랜드화가 되는 것은 그리 어려운 일이 아닐 것이다.

목차

요약
1. 서론
2. 제주신화를 활용한 도내 테마 공원 사례
1) 제주돌문화공원의 ‘탐라신화관’
2) 설문대할망테마공원
3) 제주선흘꽃밭의 ‘서천꽃밭축제’
4) 탐라신화공원
3. 제주신화 콘텐츠활용 방안 모색
4.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김은정 Kim, Eeun-jung. 제주대학교 일반대학원 국어국문학과 박사과정 수료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