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그림 형제 Brüder Grimm의 『아동과 가정을 위한 동화 Kinder- und Hausmärchen』에서 네 편의 동화에 나타난 동화적 요소와 미디어의 다각화

원문정보

Media Diversification and Subject like a fairytale through The Brothers Grimm's 『Children's and Household Tales』

장애윤

초록

영어

The Brothers Grimm (or Die Brüder Grimm), Jacob (1785–1863) and Wilhelm Grimm (1786–1859), were German academics, linguists, cultural researchers, lexicographers and authors who together collected and published folklore. They are among the best-known storytellers of folk tales, popularizing stories such as “Cinderella” “(Aschenputtel)”, “Snow White” (“Schneewittchen”), “Sleeping Beauty” (“Dornröschen”), “The Goose Girl” (“Gänsemagd”). Their first collection of folk tales, Children's and Household Tales (Kinder- und Hausmärchen), was published in 1812. The brothers were greatly disappointed at being overlooked in the appointment of a chief librarian in Kassel, and in 1830 moved the household to Göttingen, in the Kingdom of Hanover. There they took employment at the University of Göttingen—Jacob as a professor and head librarian and Wilhelm as professor. Their first collection of folk tales, Children's and Household Tales (Kinder-und Hausmärchen) is alive everywhere in 21C: through film, guide book, pamphlet, hotel, restaurant etc. And their folk tales tell specially “peace and bliss”.

한국어

그림 형제 Brüder Grimm에 관해서 알아보고, 그림 동화 네 편 즉, 신데렐라 Aschenputtel, 백설공주 Sneewittchen, 장미공주 Dornröschen , 거위 모는 소녀 Gänsemagd 에 나타난 초자연적인 힘(마법)과 형상(조력자) 그리고 권선징악에 대해서 살펴본 뒤, 이를 통한 미디어의 다각화를 알아본다. 이 네 편의 메르헨이 영화 가이드 북, 팸플릿 그리고 호텔과 레스토랑으로 활용되고 있는 고성 등 미디어 의 다각화를 살펴보았다. 19세기 초에 수집된 그림 형제의 메르헨은 21세기에도 여전히 다양한 곳에서 다양한 방법으로 살아 숨 쉬고 있음 을 엿볼 수 있다. 특히 상상력을 더욱 불러일으킬 수 있는 메르헨은 영 화와 같은 미디어를 통해 현실 속에서 창의력을 발휘하고 있다. 거위 치는 소녀 Gänsemagd의 마지막 문장에 나타난 두 단어 평 화 Frieden, 그리고 축복 Seligkeit은 인간의 그리고 국가의 궁극적 인 목적이다. 그림 형제의 메르헨의 미디어 다각화를 통해 이러한 목적 에 한걸음 더 다가 설 수 있다고 본다.

목차

요약
1. 서론
2. 그림 형제 Brüder Grimm
3. 그림 동화 네 편의 동화적 요소
4. 미디어의 다각화: mediale Diversifikation
5.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장애윤 Jang, Ae-yoon. 제주대학교 독일학과

참고문헌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