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최인호의 『별들의 고향』에 나타난 남녀 간의 권력관계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power relationship between men and women in ‘Homeland of Stars’ written by Choi Inho

양철수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Choi Inho’s Homeland of Stars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novels in 1970s. This novel is a kind of love story. Love stories are the most universal stories which can exist regardless of times. Love between a man and a woman results in the relations with institutions such as marriage or family. This article reviews the power relations between men and women, and women as subjects through confessions and sightlines. Confession is the behavior telling one’s misbehaviros and begging forgiveness. In patriarchic order, wife is described as a confessor and husband as an evaluator. Although females seem to stand as subjects through confessions, they belong to men. Female characters in this novel show desire for men no matter what class difference they have. The moral concept of Bourgeois emerging with industrialization in 1970s was that they could not accept morally defected women. Such women were excluded from the roles of wives. Sightlines do not mean a simple watching. Power plays a key role in them. It is men who look at women’s body. Women’s body is described as sexual object and is shown in the nude paintings. Women are born as subjects while they look at themselves. However, the sightlines women’s body gets are men’s sightlines. Women are constituted by sightlines of others, men’s sightlines in particular. To an artist in intelligent class, women’s body is considered as the object giving inspiration. However, Munoh, the artist in this novel, was portrayed as the character who could not overcome his limitations of his class by deserting Kyung-ah, a bar hostess. The relationship between men and women reviewed from the analysis of confessions and sightlines was hierarchical. There was no equal relationship between men and women in reality. It was confirmed again that their moral ideal was placed in the patriarchic order.

한국어

1970년대는 대중소설이 대중문화로서 자리 잡게 된 시기이다. 최인 호의 『별들의 고향』은 신문 연재소설로서 인기를 얻은 후, 단행본으로 간행되고 마침내는 영화화된 작품이다. 이 소설은 일종의 연애소설인 데, 이 소설에 등장하는 남녀 간의 관계를 고백과 시선을 통해 분석해 봄으로써 남성의 윤리 의식과 여성주체가 어떻게 구성되는지 살펴보았 다. 가부장적 질서 속에서 여성은 고백 하는 자로 나타나며 남편은 평가 자의 모습으로 나타난다. 남성은 보는 자이며 여성은 보이는 자이다. 여성은 자기 자신을 바라보면서 주체로 태어나는데, 그것을 바라보는 시선은 남성의 시선이다. 여성은 남성의 시선으로 즉 타자의 시선으로 구성된다. 1970년대 산업화로 인해 새로이 부상한 부르주아 계층은 도 덕적으로 흠결이 있는 여성을 부인의 역할로서 배제 한다. 지식인 계층 인 화가에게 여성의 몸은 영감을 주는 대상으로 나타나는데, 이 소설에 서 화가인 문오는 호스티스 출신인 경아를 버림으로써 자신의 계층적 한계를 뛰어넘지 못하는 인물로 묘사된다. 고백과 시선의 분석을 통해 살펴본 남녀 간의 관계는 위계적 관계이다. 현실에서 동등한 남녀 관계의 모습은 구현되지 않는다. 그리고 그 들의 도덕관념 역시 가부장적 질서 속에 놓여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목차

요약
1. 머리말
2. 고백, 말하는 자와 듣는 자
3. 시선, 보는 자와 보이는 자
4. 맺음말
참고문헌

저자정보

  • 양철수 Yang, Cheol-su. 제주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