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1920년대 『朝鮮文 朝鮮』에 나타난 조선인 面吏들의 面治 인식

원문정보

Recognition of ruling Myeon(面) in Myeon officials(面吏) in Joseon seen in 'Joseonmun-Joseon(朝鮮文朝鮮)' in 1920s

1920년대 『조선문 조선』에 나타난 조선인 면리들의 면치 인식

조건

숭실사학회 숭실사학 제42집 2019.06 pp.253-281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Joseon Myeon ruling(面制) in 1917 of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meant that the ruling policy of Joseon rural area by Imperial Japan which started from the latter era of Joseon dynasty was at an end. This was a part of reorganization of regional system which started from Residency-General and in line with the implementation of local ruling and merge of Gun and Myeon in 1914. Above all the implementation of Myeon ruling in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at that time is marked by the fact that it nurtured low-level officials in Korea, which contributed to the change of ruling method. Meanwhile Korean Myeon officials who were nurtured by Myeon ruling grew as working-level of local ruling in 1920s.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intended to make Myeon official root out the traditional power relations in the local area and take root of colonial government policy in rural area. I took a look at the whole of colonial government's ruling policy and its characteristics by collecting the voice of Myeon officials shown in 'Reader Forum' of Joseon Writing Joseon issued in 1920s. Approximately 500 cases of writing are confirmed in Reader Forum of ‘Joseonmun-Joseon(朝鮮文朝鮮)’ from 1923 to 1929. The analysis by local areas of the writing in Reader Forum shows that it is likely that Myeon officials in the area with less rural population like Gangwondo, Hamgyeongdo and etc. rather than regions actively involved in agriculture posted a lot of writing. The job title of Myeon officials is divided into Myeon heads and clerks which has frequency of approximately 18% in Myeon head and 68% in Myeon clerks. This paper analyzed the posting of Myeon officials by dividing into administrative affairs, industry, social general and cultivation by characteristics. As a result, the writing of Myeon ruling administrative affairs accounted for majority until early and mid 1920s while posting related to social general had a huge presence toward the late era. The responsibility and importance of recognition to Myeon ruling of Myeon officials have been emerged but as times goes by, there were remarkable cases of showing discontent in working environment where the treatment were poor and room for improvement has no choice were noticed. But there was not intention of giving up Myeon job title even in case of shown discontent was not seen. To sum up, 1920s is the transitional period when local ruling system was being established in colonial era of Japan and Myeon officials nurtured in this period seem to be important backer in implementing war footing and full-scale mobilization in 1930s.

한국어

1917년 조선총독부가 식민지 조선에서 시행한 면제(面制)는 한말부터 진행된 제국주의 일본의 조선 농촌사회에 대한 통치정책이 일단락된 것을 의미했다. 이것은 통감부 때부터 시도된 지방제도 개편의 일환이었으며, 1914년 부제(府制) 시행과 군·면 통폐합의 연장선에 있었다. 무엇보다 당시 조선총독부의 면제 시행은 조선인 하급 관리를 양성하고 이를 이용하여 통치 방식의 변화를 도모했다는 점에서 특징적이다. 한편 면제 시행으로 양성된 조선인 면리(面吏)들은 1920년대 지방통치의 실무자로 성장하였다. 조선총독부는 이들을 통해 전통적인 지방의 권력 관계를 일소하는 한편 식민 당국의 정책을 농촌사회 곳곳에 뿌리내리고자 하였다. 필자는 1920년대 발행된 조선총독부 기관지 『조선문 조선(朝鮮文 朝鮮)』의 ‘독자논단’에 드러나 있는 면리들의 목소리를 모아서 식민 당국이 이들을 통해 의도했던 지배정책의 일단과 그 특징을 살펴보았다. 1923년부터 1929년 사이 『조선문 조선』의 ‘독자논단’에는 모두 약 500건의 글이 확인된다. 독자논단에 수록된 글을 지역별로 분석해 보면, 농업이 활발한 지역보다 강원도, 함경도 등 비교적 농촌 인구가 적은 곳의 면리들이 글을 많이 게재하는 경향을 보인다. 글을 게재한 면리들의 직책은 면장과 면서기로 나뉘는데, 면장이 약 18%, 면서기가 약 68%의 빈도를 보였다. 이글에서는 면리들이 게재한 글을 행정과 산업, 사회일반, 수양 등 성격별로 나누어 분석하기도 했다. 그 결과 1920년대 초중반까지는 면치 행정에 관한 글이 다수를 점유한 반면 후반으로 갈수록 사회일반과 관련한 글들이 주류를 이루었다. 면리들의 면치에 대한 인식은 초기에는 면직 자체에 대한 책임과 중요성이 부각되었지만, 시간이 갈수록 낮은 처우와 개선의 여지가 적은 업무 환경에 불만을 나타내는 사례도 눈에 띄었다. 그러나 불만을 나타내는 경우에도 면직 자체를 포기하려는 의도는 보이지 않았다. 요컨대 1920년대는 일제의 식민지 조선에 대한 지방통치제도가 자리 잡아 가는 과도기였고, 이 기간을 통해 양성된 면리들은 1930년대 전시체제와 총동원체제를 수행하는 데 중요한 배후가 되었다고 할 수 있다.

목차

Ⅰ. 머리말
Ⅱ. 1920년대 면제 시행과 『朝鮮文 朝鮮』 내 면리들의 투고 실태
1. 1920년대 면제 시행과 『조선문 조선』독자논단의 구성
2. 독자논단 내 면리들의 투고 실태
Ⅲ. 조선인 면리들의 면치 인식과 그 특징
1. 독자논단의 건수와 내용 변화 양상
2. 면리들의 면 행정에 대한 인식과 특징
3. 면리들의 면직에 대한 인식과 특징
Ⅳ. 맺음말
[부록]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저자정보

  • 조건 Cho, Gun. 고려대학교 한국사연구소 연구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9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