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義湘의 입당항로와 義天의 여송길

원문정보

Uisang’s sea route to Tang Dynasty and Uicheon’s road to Song Dynasty

의상의 입당항로와 의천의 여송길

김문경

숭실사학회 숭실사학 제42집 2019.06 pp.119-132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Korean envoy’s route to China was likely to be influenced by the contemporary international situation. There were three sea routes in Tang and Silla Dynasty;the north sea route, the sea route across Yellow sea and the south sea route. The Dengzhou was the central harbor in China of the north sea route. The sea route was safe relatively because it was not only along the coast but capitals of China of many generation located in North. The sea route across Yellow sea was from Gyeongju to DengZhou through the southern coast of Korea and Heuksando Island. In the neighborhood of Heuksando Island, if they sailed to south, they could reach to the downstream of Yangzi River and Mingzhou and Gwangzhou, if more sailing to south. There were materials about the south sea route to assume that there was excahnge between Korea and south·west world earlier on. The historian recorded the content of exchange with southern dynasties in China as the legend of Heo family did. As mentioned earlier, there were group residence of Silla people and Goryeogwan in Ningbo wich was one of central ports and harbors in southern China. Uisang succeed to reach to Tang Dynasty in 661, after his first failure to arrival in 650. He landed to Ma harber, Maqiaocun, Yangzhou. And using the Grand Canal, he moved northward, and reached to Zhixiang Temple in Mt. Zhongnan. He studied in 7 years with Tripitaka Ziyan and written famous book, Ilseungbeongyedoki. He is though to return to his county from Dengzhou, because in 671 when he returned to Korea, the international situation around Yellow sea was relatively stable, and many merchant vessels could come and go. He established Buseoksa(Temple) in Mt. Taebaeksan in 676 and became the founder of Huayan school. As the relation between Korea and Song Dynasty was broken, when Uicheon reached to Song Dynasty, Song Dynasty was glad to his appearance. At first, he had purpose to examine and study Buddhism in Song Dynasty, and discourse with high priest of Buddhism. He discussed the religious viewpoint of suspension and Chentae with Rabbi Youcheng and studied the Buddhism from Tianjixiang. After one month, he departed to Hangzhou, the center of Buddhism of southern China, because Rabbi Jingyuan was waiting him. On his way along the Grand Canal, he met Chan master Liaoyuan and discussed with him to the Chan in Jinshansi Temple. And then, he met Rabbi Jingyuan and talked about Avatamsa, Surangama, Mahavaipulya, Mahayana. In February, 1086, Uicheon moved to Bianjing and bid farewell to Zhezong, and came back to Hangzhou, took his leave of Jingyuan and then leaved to Mt. Tiantai. He swore under the pagoda Liushen of Rabbi Zizhe, and made a trip back to his homeland in 20 May, and arrived in 29. When he stayed in Song, he discussed with 50 high priests of Buddhism regardless denomination. Uicheon, who passed away enter Nirvana in 47, became the founder of Tiantai Buddhism and was granted to Daegakguksa.

한국어

우리나라의 대중국 사신길은 당시의 국제정세에 좌우되는 경우가 많았다. 당과 신라 때의 해상교통로는 대개 세 길이 있었다. 북방해로와 황해횡단항로 그리고 남방해로였다. 북방횡단해로는 등주가 중국의 중심항이었다. 연해안을 따라 항해하는 해로라 비교적 안전하였을 뿐만 아니라, 역대 중국의 수도가 북쪽에 위치하고 있었기 때문이기도 했다. 황해횡단해로는 신라 경주의 인근 항구에서 남해안을 거쳐 흑산도 부근에서 뱃길을 서북쪽으로 돌려 등주 관내의 항포에 도착한다. 흑산도 인근에서 남쪽으로 항해하면 양자강 하구 인근이나 더 남쪽으로 가면 명주, 광주 방면으로 갈 수 있다. 조선술과 항해술의 발달 결과라 하겠다. 남방해로는 일찍부터 우리나라와 남·서쪽 세계와 교류가 있었다고 짐작되는 기록들이 있다. 1세기 중반, 김해 ‘가야’ 수로왕비 허씨의 전설도 그러하지만 사서는 중국 남조국가들과의 교류 내용들을 남기고 있다. 앞에서 논급한 바와 같이 남중국 항포의 중심항의 하나인 명주(영파)에는 신라인의 집단 거주지와 고려관이 있었다. 의상은 650년 첫 번째 입당에 실패하고 11년이 지난 661년 남방해로로 도당에 성공한다. 의상은 양주땅 여고진 마교촌 마항에 상륙했다. 대운하를 이용하여 북상, 종남산 지상사에 도착했다. 그곳 지엄삼장 회하에서 7년간 수학하면서 명저 󰡔일승법계도기󰡕를 찬술했다. 의상의 귀국항은 등주였을 것으로 짐작하고 있다. 귀국한 671년은 황해 정세는 비교적 안정되었고 많은 무역선들이 왕래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676년 태백산에 부석사를 창건하고 해동 화엄종의 개산조가 되었다. 702년 78세가 되던 해에 입적하였다. 의천이 입송한 때는 여·송관계가 단절되고 있었던 때라 송은 의천의 출현을 몹시 반가워했다. 원래 의천은 송나라 불교계를 두루 살펴보고 배우며 고승과 담론할 목적을 가지고 있었다. 의천은 천거해 준 유성법사와 현수·천태의 교관을 논하고, 천길상으로부터 범학을 배웠다. 한 달이 지난 뒤 중국 남쪽 불교의 중심지 항주로 떠났다. 전부터 알고 지낸 정원법사가 기다리고 있었던 때문이었다. 운하길을 따라 가는 길에 금산사에서 불인 요원선사를 만나 선을 논했다. 그 뒤 정원법사를 만나 화엄, 능엄, 원각, 기신 등을 담론하였다. 1086년 2월 의천은 변경으로 가서 철종에게 하직하고 항주로 돌아와 4월 정원과 작별하고 천태산으로 떠났다. 지자대사의 육신탑에 ‘탑하의 서’를 올리고, 5월 20일 귀국길에 올라, 29일에 돌아왔다. 의천은 송에 머무는 동안 종파를 가릴 것 없이 50여 명의 고승을 만나 담론했다. 세수 47세가 되던 해 입적한 그는 천태종의 비조가 되었고 대각국사의 시호가 내려졌다.

목차

Ⅰ. 머리말
Ⅱ. 항로
1. 북방항로(노철산항로)
2. 황해횡단항로
3. 남방항로
Ⅲ. 의상의 입당길
Ⅳ. 의천의 입송길
Ⅴ. 맺음말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저자정보

  • 김문경 Kim, Moon Gyong. 해상왕장보고연구회 회장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