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특집논문 : 여성주의적 공간론

지방 도시의 퀴어 축제를 통해 형성된 다양성 레짐 : 대구, 제주, 부산을 사례로

원문정보

Urban diversity regime in queer festivals of non-capital cities : a case study of Dague, Jeju and Busan

홍예륜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suggests the concept of ‘urban diversity regime’, analyzing queer festivals of non-capital cities in the Korean context. Conducting participant observation, in-depth/informal interviews, and archival data, this study catches the following results from the case of Dague, Jeju, and Busan. First, queer festivals of three cities arise as a political agenda through two main steps: uniting of local human resource and acquiring citizenship from local civil society. As the queer festival is a newly emerged activism in local areas except for Seoul, organizers integrate collective emotion within the progressive local civil community. Second, as a political project for urban diversity, queer festivals call for cooperation between civil and public actors. The cooperation is mainly built upon ‘the right for occupying public space’, which is a requisite for ‘the legitimate festival’. Since local government and police own exclusive power to approve accessibility to public space, governmental actors are inevitably involved in the political project. This study seeks to explore the power relationship in local queer festivals, which is rapidly spreading in recent, and to expand the regime approach to political participation and identity politics of minorities and localization of queer festivals.

한국어

본 연구는 ‘도시 다양성 레짐(urban diversity regime)’ 개념을 토대로 한국 지방 도시의 퀴어 축제가 개최되는 과정을 행위자 간의 관계를 중심으로 분석한다. 연 구를 위해 수행한 현장조사, 심층 및 비공식 인터뷰, 문헌조사를 기반으로 본 연구 는 대구, 제주, 부산 세 도시의 사례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했다. 첫째, 지방 도시의 퀴어 축제는 지역 내부의 인적 자원 발굴 및 결합, 기존 시민 사회에 대한 연대 표현을 통해 정치적 의제로 성장한다. 지방 도시에서는 성소수자에 대 한 논의가 전무하거나 부족했기 때문에, 축제 조직위는 정부 행위자와 대면하기에 앞서 퀴어 축제에 대한 공감을 지역 시민 사회 내부에서 결집시킨다. 둘째, 퀴어 축제는 다양성을 기치로 한 도시의 정치적 프로젝트가 되어 비정부 행위자와 정부 행위자의 협력을 요구하며, 협력 관계의 핵심에는 ‘합법적인 퀴어 축제’를 위한 ‘공공공간 사용권 획득’이 있다. 도시 정부와 경찰은 퀴어 축제에 필수적인 공간 사용을 허가할 권한을 배타적으로 소유하고 있기 때문에, 비정부 행위자들은 도시 정부와 경찰을 퀴어 축제 개최라는 프로젝트에 개입하도록 만든다. 본 연구는 2010년대 후반 급속히 확산 및 성장하고 있는 지방 도시의 퀴어 축제를 사례로, 레짐 이론의 분석 대상을 소수자의 정치 참여, 정체성의 정치로 확장하고 퀴어 축 제의 지방화를 가능하게 한 구체적인 권력을 탐구했다는 것에서 함의를 가진다.

목차

요약
1. 서론
2. 문헌연구
1) 퀴어 축제에 대한 지리학적 연구
2) 도시 다양성 레짐(urban diversity regime)
3. 연구 방법 및 사례 지역 소개
4. 퀴어 축제: 지역 시민 사회의 정치적 프로젝트
1) 지방 도시 퀴어 축제의 조직
2) 지역 시민 사회에 대한 연대
5. 축제의 공간 사용권과 도시 다양성 레짐의 형성
1) 정부 행위자와의 갈등 조정과 협력
2) 도시 다양성 레짐 강화 및 유지를 위한 정부 행위자들의 지원
6. 결론
Abstract
참고문헌

저자정보

  • 홍예륜 Yeryun Hong. 서울대학교아시아도시사회센터(CAUS) 연구보조원 국토문제연구소 연구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