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특집논문: 여성주의적 공간론

결혼이주여성의 가정 너머 불안정성 : (잠재적) 다문화강사의 가정 너머 불안정성의 생산 사례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The precarity of female marital migrants beyond their home : The production of precarity of (potential) Multicultural Instructors beyond female marital migrants’ home

고민경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tend the space of social reproduction of female marital migrants who are Multicultural Instructors or students of the Multicultural Instructors Vocational Programs by using the concept of precarity. The women’s experiences are predicated on crafting a felicitous but fictitious work-family balance based on a cost-benefit calculus, but differences between expectations and actual practices produce their precarity. I analyze the ways in which the governance of the women that asks them to be social reproductive labor workers at their homes is slipped over, so the women decide to be income earners beyond their homes. First, despite female marital migrants’ desire to be engaged in professional and high-wage work, they voluntarily choose insecure, low-paid, and temporary work positions due to social reproductive work at their homes. Second, their labor beyond their homes enables these women to exercise their abilities and avoid others’ disrespect, but also gives them a more vulnerable status; the women’s reproduction activities at their homes cannot help but force them to choose flexible occupations, which in turn entrenches them on the margins of Korean society. Based on these results, I argue that social reproduction of female marital migrants is situated in the continuum from wife to worker experiencing various precarities, and that the women are situated in a marginalized social position in Korean society.

한국어

이 논문은 다문화강사 및 다문화강사양성과정을 수강하는 결혼이주여성을 대상 으로 하여 이들이 경험하는 사회재생산의 공간을 불안정성의 개념을 사용하여 가 정 너머로 확장하는 시도이다. 결혼이주여성은 자신의 생활에 대해 갖는 기대와 실제와의 차이를 경험함에 따라 불안정성이 생산된다. 이 논문은 가정 내 사회재 생산 노동자가 되기를 요구받는 결혼이주여성이 가정 밖에서 경제활동참여자가 되도록 결정하게 된 방식을 분석하여 불안정성의 생산을 구체적으로 확인한다. 첫 째, 결혼이주여성은 가정 내 자신의 사회재생산 노동 의무로 인해 불안전, 저임금 및 일시적인 직업을 자발적으로 선택한다. 둘째, 그녀들의 가정 너머의 노동은 자 신의 능력을 발휘할 수 있게 하고 타인의 무시를 피할 수 있게 하지만, 동시에 그 녀들에게 더욱더 취약한 지위를 부여하기도 한다. 여성의 가정 내 사회재생산 활 동은 유연한 직업을 선택할 수밖에 없게 만드며, 이는 결국 그녀들을 한국 사회의 가장자리로 내몰게 된다. 위의 두 결과를 토대로, 본 논문은 결혼이주여성의 사회 재생산은 ‘아내’에서 다양한 불안정성을 경험하는 ‘노동자’에 이르는 연속체에 위 치하고 있으며, 이주여성은 한국 사회에서 소외된 위치에 자리매김하게 됨을 주장 한다.

목차

요약
1. Introduction
2. Data and methods
3. Understanding precarity from labor to lives
4. Experiencing precarities from contrasting societal and personal expectations
5. Producing precarity beyond home: entering the insecure labor market voluntarily
6. Being situated in marginal positions
7. Discussion and conclusion
Abstract
References

저자정보

  • 고민경 Minkyung Koh. 서울대학교아시아연구소도시사회센터객원연구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