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기고논문

탄허의 학술과 회통론 - 근세 동아시아의 유학으로 본 -

원문정보

Tan-heo’s Learning and Theory of Hoitong(會通論) - Focusing on Confucianism of Early Modern East Asia -

이원석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Tan-heo’s Learning and Theory of Hoitong(會通) in the view of Confucianism of Early Modern East Asia. Tan-heo suggested the Buddhist Philosophy of Mind which put emphasis on the Buddhist mind, One Mind(一心), or Real-Self-Nature(眞如自性) as its first principle, the view of equality on human beings, and the discipline method following these. Based on this, Tan-heo united Confucianism and Taoism but has critical attitude on the Neo-confucianism.(朱子學) However, he received a tremendous influence from the Doctrines of Wang Yangming(陽明學). Emphasizing the practice of the theory of Knowledge and Action Unity(知行合一說), Tan-heo integrated Theory of Yangji(良知) with Gnosticism(靈知) of Buddhism and the Clear Knowledge and Universal Illumination(普光明智) of Hwaeom(華嚴). Especially, the Theory of Own Fate(造命說) by Wang-keun(王艮) and the Theory of Innocent Mind(童心說) by Yi-ji(李贄) could be found in Tan-heo’s learning. On the other hand, The influence of Philology during the Qing Dynasty remained only in the integrative understanding of Buddhist scriptures and its interpretation, in the emphasis of self-awareness(自得) coupled with Revelation(禪旨), in the Sohak(小學)-based approach, and in the application of its research results. Theory of Hoitong of Three Teachings(Buddhism, Confucianism, and Taoism) originated in Bocheongyo(普天敎) and finally transformed into Hwaeom in Buddhism. It took emphasis on tenets, roots, origin and Gwi-yil(歸一), and Moo-ae(無碍) but he also seemed to be affected by China, such as Hsun-tzu(荀子) and So-ong(邵雍), and the Theory of Consilience of Three Teachings(三敎合一論) in the late of the Ming Dynasty. Therefore, Tan-heo’s learning aimed at the Buddhist Doctrines(佛道) and Tao(道). The learning and theory of hoitong by Tan-heo is highly valuated not only in the point of strong tendency toward nongovernmental, national, and self-aware thought but also in the process of scholarship of Early Modern China.

한국어

본고는 동아시아 근세 유학의 관점에서 탄허의 학술과 회통론을 고찰한 것이다. 탄허는 청정한 본래 부처님의 마음이나 일심(一心), 그 본체인 진여자성(眞如自性)을 중시하는 불교적 심성론(心性論)과 평등인간관을 설파하고, 근기에 따른 수행법을 제시하였다. 그는 여기에 기반하여 유(儒)⋅도(道)와 회통하였으나, 주자학에 대해서는 대체로 비판적이었다. 그러나 양명학에 대한 영향은 매우 강하였다. 그는 지행합일로 실천을 강조하며 양지(良知)와 불교의 영지(靈知)나 화엄의 보광명지(普光明智)와 회통하였다. 특히, 그의 학술에는 명대 양명학 좌파 왕간(王艮)의 조명설(造命說)과 이지(李贄)의 동심설(童心說)도 보인다. 반면에 청대 고거학(考據學)의 영향은 경문과 주소의 통합적 이해, 선지와 결합된 자득(自得)의 강조, 소학적 접근법, 연구 성과의 이용에만 머물렀다. 탄허의 삼교회통론은 보천교에서 비롯되었다가 불교의 화엄 중심으로 전환되었다. 그 논리는 종지⋅뿌리⋅근원⋅귀일(歸一)⋅무애(無碍)를 중심으로 삼았지만, 순자(荀子)와 소옹(邵雍), 명말의 삼교합일 등 중국의 영향도 확인된다. 이에 따라 탄허의 학술은 ‘불도’나 ‘도’로의 지향성이 결정되었다. 탄허의 회통적 학술은 재야적⋅민족적⋅자득적 경향이 강하며 근세 중국과 비슷한 흐름이 확인된 점에서 높이 평가된다.

목차

한글요약
Ⅰ. 머리말
Ⅱ. 불교적 심성론⋅인간관과 주자학 비판
Ⅲ. 양명학의 긍정과 고거학적 접근
Ⅳ. 삼교합일의 논리와 명청대의 회통론
Ⅴ.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원석 Lee, Won-suk. 동국대(서울) 다르마칼리지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8,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