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Producing of Bronze Artifacts Excavated from Gulsansa Temple Site in Gangneung : Technology and Provenance
초록
영어
Bronzes excavated from a Gulsansa temple site in Gangneung were investigated in order to study the production of technology and provenance in this area. The bronze artifacts were discovered to consist of copper-tin or copper-tin-lead alloys using chemical analysis(EDS and EPMA). The excavated bronzes were manufactured using a casting or hammering process, and a bronze belt was gilded with gold foil. The provenance of 25 bronzes was studied using lead isotope analysis(TIMS and LA-MC-ICPMS). The results reveal the use of raw materials found near the excavated site. The object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anufacturing techniques and provenance in Gangneung without the need for a lot of data. Our results will contribute to the study of Gulsansa and bronze artifacts in Goryo(12-13th century).
한국어
강릉 굴산사지에서 출토된 청동기 25점은 에너지분광분석기(EDS)와 전자탐침X선분석기 (EPMA)를 이용하여 성분분석해준 결과 출토된 청동기가 구리-주석의 2원계 혹은 구리-주석-납 의 3원계 합금임을 알 수 있다. 합금 이후 주조 혹은 단조공정이 진행되었으며 청동고리의 경우, 금도금이 되어있음을 알 수 있다. 납 동위원소는 열이온화질량분석기(TIMS)와 레이저삭막 유도 결합플라즈마질량분석기(LA-MC-ICPMS)를 이용해 주었으며, 분석결과 출토지와 근거리의 납 원료를 사용한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연구 데이터가 많지 않은 강릉지역 청동기의 제작기 술 및 산지추정에 연구 목적이 있으며, 굴산사 실체의 확인 및 12∼13세기 고려시대 청동기의 분석자료 구축에 기여할 것으로 생각된다.
목차
ABSTRACT
1. 서론
2. 연구방법
3. 연구결과
3.1. 미세조직 관찰
3.2. 화학조성
3.3. 납동위원소비 분석을 통한 산지추정
4. 고찰 및 결론
사사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