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웰니스 및 융복합

솔잎 열수(熱水) 추출물의 화장품 소재로의 응용

원문정보

Application of Pine Needle Extract as Cosmetic Material

박장순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Contemporary society,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has been enjoying a boom in the cosmetics industry due to the launch of cosmetics through new technology development due to the interest in the beauty industry. However, the cosmetics industry is booming, but dry eye syndrome, skin trouble, Hormonal disturbances, and many other side effects. In order to prove the universal use value of pine needles as a natural cosmetic material that can complement the side effects of existing chemical ingredients cosmetics harmful to human body, and to propose a roll model of desirable natural cosmetics,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BTS assay, and flavonoid content were studied. The results showed that both the DPPH radical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increased in both the 70℃ and 100℃ pine water hot water extracts. The extracts from the pine tree extracts at 70℃ and 100℃ showed 32.0 ± 2.5 ㎎ QE / ㎖ and 116.8 A total flavonoid of ± 5.5 mg QE / ml was detected. Therefore, it is considered that the pine needle hydrothermal extract having a large amount of antioxidant which is advantageous to human body is highly applicable as a natural cosmetic material harmless to the human body.

한국어

4차 산업혁명시대인 현대사회는 뷰티산업에 대한 뜨거운 관심 속에 새로운 기술 개발을 통한 화학 소재의 화장 품 출시가 줄을 이으면서 화장품산업이 호황을 누리고 있지만 화학 화장품에 대한 안구 건조증, 피부 트러블, 소화 장애, 호르몬 교란 등 수 많은 부작용들이 노출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이 인체에 유해(有害)한 기존 화학성분 화장품의 부작용을 보완할 수 있는 솔잎의 천연화장품 소재로서의 범용적(汎用的) 활용가치를 과학적으로 검증하고 바람직한 천 연화장품의 롤 모델을 제시하고자 솔잎에 대한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실험, ABTS assay, flavonoid 함량을 연구하였 다. 실험 결과 70℃와 100℃ 솔잎 열수(熱水) 추출물은 DPPH radical과 ABTS radical 소거능 모두 농도 의존적인 증가가 나타났으며 70℃와 100℃의 솔잎 열수 추출물에서 각각 32.0±2.5 ㎎ QE/㎖와 116.8±5.5 ㎎ QE/㎖의 총 flavonoid가 검출되었다. 따라서 인체에 이로운 항산화물이 다량 검출된 솔잎 열수 추출물은 인체에 무해(無害)한 천연 화장품의 소재로서 활용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사료한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이론적 배경
2.1 솔잎의 효능
2.2 DPPH radical scavenging test
2.3 ABTS assay
2.4 Flavonoid
3. 실험 재료
3.1 실험 재료
3.2 실험 시약
3.3 실험 기기
4. 실험방법
4.1 시료 농축
4.2 DPPH radical 소거능 측정
4.3 ABTS radical 소거능 측정
4.4 Flavonoid 함량 측정
4.5 통계처리
5. 실험 결과
5.1 DPPH radical 소거능
5.2 ABTS radical 소거능
5.3 Flavonoid 함량
6. 결론
REFERENCES

저자정보

  • 박장순 Jang-Soon Park. 송원대학교 뷰티예술학과 부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