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웰니스 및 융복합

지체장애인의 장애수용과 사회적 유능감 간의 관계에서 자존감, 사회참여, 차별경험의 매개 및 조절효과

원문정보

Mediating and Moderating Effects of Self-esteem, Social Participation and Discrimination Experi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cceptance of Disability and Social Competence in Adul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김도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effective strategies for promoting psycho-social adjustment by examining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esteem (SE) and moderating effects of social participation (SP) and discrimination experience (DE) in predicting social competence (SC) with acceptance of disability (AD).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1943 adults with a physical disability (1338 males and 605 females) and 233 adults with brain lesions (160 males and 73 females) aged between 19 and 65 years.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and Process macro software, and conditional process analysis (model 18) in which the degree and onset of disability were controlled was perform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E was found to partiall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AD and SC. Second, the relationship between SE and SC was found to be moderated by SP but not by D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SP and SC was found to be moderated by DE. In addition, the mediating effects of SE, which was moderated by SP, were found to not be moderated by DE. The clinical implication and suggestion for future research is discussed.

한국어

본 연구는 장애수용으로 사회적 유능감을 예측함에 있어 자존감의 매개효과 및 사회참여와 차별경험의 조절효과 를 살펴봄으로써 심리-사회적 적응을 촉진하기 위한 보다 효과적인 전략을 규명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대상 은 만19세부터 65세 사이의 지체장애인 1943명(남 1338명, 여 605명)과 뇌병변 장애인 233명(남 160명, 여 73명)이 다. 자료 분석을 위하여 SPSS와 process macro 프로그램을 활용하였으며 장애의 정도와 발생 시기를 통제한 조건부 과정분석(model 18)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존감은 장애수용과 사회적 유능감 간의 관계를 부 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존감과 사회적 유능감 간의 관계는 사회참여에 의해 조절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차별경험에 의해서는 조절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참여와 사회적 유능감 간의 관계는 차별경험에 의해 조절되 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사회참여에 의해 조절된 자존감의 매개효과는 차별경험에 의해 조절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 났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임상적 시사점과 향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연구방법
2.1 연구모형
2.2 연구대상
2.3 변수측정
3. 연구결과
3.1 측정 변수 간의 관계
3.2 매개모형 검증
3.3 조절모형 검증
4.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저자정보

  • 김도희 Do-Hee Kim. 전남대학교 교육학과 박사과정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