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e objective of study was to identify perceived medication administration Competence of senior nursing students. A total of 128 students were recruited. The instruments for this study were self-efficacy for drug dosage calculation, anxiety for drug dosage calculation and perceived medication administration competence.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November 2018 to January 2019, analyzed by descriptive analysis, chi-square, t-test, Scheffe test,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regression using the SPSS 25.0 program. The main predictors of perceived medication administration competence were identified as confidence in drug dosage calculation (β=.463, p <.001), Attitude of participation at clinical practice (β=.168, p =.040). These two factors explained about 29% of variance in perceived medication administration competence (F=26.93, p <.001). It can contribute to improve their ability to administrate medication in practice, with the accuracy of prescription, recalculation of prescribed drug dose, and observation of adverse reactions in clinical practice and simulation with collaborative approach.
한국어
본 연구는 졸업예정 간호 학생들의 주관적 투약수행역량 수준을 확인하고, 제 특성들이 주관적 투약수행 역량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살펴보기 위함이며,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졸업예정 간호대학생 총 128명으로, 자료수집 기간은 2018년 11월부터 2019년 1월까지이다. 본 연구의 측정변수는 약물용량계 산 자기효능감, 약물계산 불안감, 주관적 투약수행역량이며, 자료분석은 SPSS 25.0 program을 이용하여 t-test, ANOVA, chi-square test, multiple regression을 시행하였다. 회귀 분석결과 본 연구의 종속변수인 주관적 투약수행 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약물계산자신감(β=.463, p <.001), 임상실습 태도(β=.168, p =.04)이었다. 임상실습태도가 적극적이고(B=7.002), 약물계산자신감이 높을 때(B=1.648) 주관적 투약수행역량이 높았으며 이들 변수들은 주관적 투 약수행역량을 29.0%를 설명하였다(F=26.93, p <.001). 적극적인 임상실습 태도와 학생들의 약물계산에 대한 자신감은 간호학생들의 투약수행 역량을 높이는데 기여할 수 있다. 본 연구 결과는 환자의 약물처방에 대한 정확성 확인, 처방된 약물용량의 재계산, 투약 후 환자반응 관찰 등 학생들의 투약수행역량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교육전략을 세우는데 활용 될 수 있다.
목차
Abstract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방법
2.1 연구설계
2.2 연구목적
2.3 연구대상자 및 자료수집
2.4 연구도구
2.5 자료분석
2.6 윤리적 고려
3. 연구결과
3.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3.2 약물용량 계산 자기효능감, 약물계산 불안감, 주관적 투약수행역량
3.3 일반적 특성에 따른 주관적 투약수행역량
3.4 약물용량 계산 자기효능감, 약물계산 불안감, 주관적 투약수행역량과의 상관관계
3.5 주관적 투약수행역량 영향요인
4. 논의
5. 결론 및 제언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