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청소년들의 부모애착이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 : 부모의 학업기대와 낙관성의 매개효과

원문정보

Influence of Parental Attachment on Learning Flow : Mediating Effects of Parental Academic Expectation and Optimism in Adolescents

정구철, 설미경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mediating effects of parental academic expectations and adolescent’s optimism in the influence of perceived parental attachment on learning flow.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84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cademic expectation and optimism showed significant full mediation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 attachment and learning flow. Second,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ifference between the indirect effects of academic expectation and optimism by the bootstrapping metho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he healthy attachment relationship with the parents increases the parent's supportive expectancy, improves the optimism for the youth, and improves the learning commitment for effective learning. Finally, we discussed the role and expectations of parents and adolescents in promoting the learning commitment of adolescents.

한국어

본 연구는 청소년들이 지각한 부모애착이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에서 부모의 지지적 학업기대와 청소년의 낙관 성의 매개효과를 융합적으로 검증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 대상은 서울특별시에 소재한 중·고등학교 학생 184명이었다. 연구결과, 첫째, 학업기대와 낙관성은 부모애착과 학습몰입 간의 관계에서 완전 매개효과를 보였다. 간접효과의 유의성 을 Bootstrapping 방법으로 분석한 결과, 부모의 학업기대와 청소년의 낙관성을 통한 간접효과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 의하였다. 둘째, 학업기대와 낙관성의 간접효과 간의 차이를 Bootstrapping 방법으로 분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부모와의 건강한 애착 관계는 부모의 지지적 기대를 증가시키고, 청소년들 에게는 낙관성을 증진시켜, 효율적인 학습을 위한 학습몰입을 향상시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청소년의 학습몰 입을 증진시키기 위한 부모와 자녀의 역할과 기대에 대해 논의하였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이론적 배경
2.1 부모와의 애착관계와 학습몰입의 관계
2.2 부모의 학업기대와 학습몰입의 관계
2.3 청소년의 낙관성과 학습몰입의 관계
3. 연구모형 및 가설
4. 연구 방법
4.1 연구 대상 및 자료수집
4.2 연구 도구
4.3 분석 방법
5. 연구결과
5.1 부모애착, 학업기대, 낙관성 및 학습몰입의 평균과 표준편차
5.2 일반적 특성에 따른 부모애착, 학업기대, 낙관성및 학습몰입의 차이
5.3 부모애착, 학업기대, 낙관성 및 학습몰입 간의상관관계
5.4 부모애착, 학업기대, 낙관성 및 학습몰입 간 의측정모형 분석
5.5 부모애착, 학업기대, 낙관성 및 학습몰입 간 의구조모형 분석
6.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저자정보

  • 정구철 Goo-Churl Jeong. 삼육대학교 상담심리학과 교수
  • 설미경 Mi-Kyung Seol. 삼육대학교 대학원 상담심리학과 박사과정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