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A Study for Inhabitant's Allergic Rhinitis in Seoul City by Multisensitization between Indoor and Outdoor Antigens
초록
영어
This study target was 262 allergic rhinitis patients who were checked as sure as symptoms through allergen skin test. This skin test was performed during 1 year in Y medical practitioner's office for Otorhinolaryngology in Seoul City. The reference data was the result of the same test using 15 units as diagnostic allergen extracts and all of 15 diagnostic allergen extracts expressed the high sensitivity in skin testing. As a result, the next could be obtained.. 1. The allergy rhinitis by house dust mites, D. pteronys and D. farinae and dog hair and cat fur was superior. 2. Seeing the reciprocal relation of 3 populations in multisensitization between indoor and outdoor antigens, there was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nly between Age (13~45) and Age ( 46). 3. Multisensitization rates of cat hair and dog hair with other outdoor antigens were 2.1% and 2.9% respectively for Age ( 12), both 8.1% for Age (13~45), 0.8% and 1.2% respectively for Age( 46). 4. Only the avoidance for trigger factor of offensive antigens and the indoor environment control can not prevent allergic rhinitis. Because the possibility of outdoor antigen reaction exists also in reversible action by air pollutants such as loess, ozone, SOx, NOx and the others.
한국어
본 연구는 알레르기 비염질환의 현황을 살펴봄으로써 쾌적한 환경에서 비염질환으로부터 보다 안전한 환경의 위생사회를 구 현하게 하는 기술적 자료를 얻고자 하는 목적에서 수행되었다. 연구방법으로 서울시에 소재하는 Y 이비인후과 의원에서 1년간 비염으로 통원 치료차 방문한 환자들 중 알레르기성 비염으로 확진된 262명 환자들의 의무기록사항들을 면밀히 조사 및 분석하 였다. 동 의원에서는 알레르기 비염으로 의심되면 피부 단자시험을 시행하였는데 내원한 환자들에게 15개 진단용 알레르기 항원 이 사용되었고 이 15개 진단용 항원들은 모두가 감수성이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서 시중 병원에서 널리 사용되는 것이었다. 결과 로서 다음 사항들이 얻어졌다. 1. 실내항원인 미국 및 유럽 집 먼지 진드기와 개털과 고양이털 항원들에 의한 알레르기 비염 질 환이 우세하게 많다. 2. 실내외 항원들이 서로 중복 감작함에 있어서 세 군 사이의 상호관계를 보면 13세~45세의 군과 46세 이상 의 군 사이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있다. 3. 실외항원들과 개털 및 고양이털 항원에 의해 중복 감작된 비율이 age( 12)(유아 및 아 동연령층)은 각각 2.9%, 2.1%이고 age(13~45)(청소년 및 청장년연령층)은 각각 8.1%이고 age( 46)(중년이상 연령층)는 각각 1.3%와 0.8%이다. 4. 알레르기 비염질환의 예방이 기인 항원의 방아쇠 인자들의 회피와 실내 환경관리로만 가능하지는 않다. 왜 냐하면 황사, 오존, 황산화물, 질소산화물 등 여러 공기오염물질들의 가역적 반응이 실외항원으로 작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목차
요 약 문
I. 서 론
II. 재료 및 방법
1. 조사대상 모집단
2. 조사대상 및 기간
3. 조사방법
4. 분석방법
III. 결과 및 고찰
1. 그룹별 확진환자의 분포
2. 그룹별 확진환자의 성별분포
3. 환자 1인당 감작항원 수
4. 세 군의 기인항원 단일감작 비율
5. 실내 및 실외항원 종류에 따른 그룹별 중복감작 유의성
IV. 결 론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