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RAG(Resilience Analysis Grid)을 이용한 문화재 재난관리 역량평가

원문정보

Cultural Heritage Disaster Management Assessment Using a Resilience Analysis Grid

양혜진, 김동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Recently, damage is increasing due to artificial disasters and natural disasters and also cultural assets are experiencing constant incidents of disasters. In this study, we conducted a RAG (Resilience Analysis Grid) to evaluate the whole system actively in the field of cultural assets disaster management. The evaluation results were evaluated as Anticipation competence(3.63/5.0), monitoring competency (4.47/5.0), Responding competency (4.49/5.0) and Learning competency (1.61/5.0).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the strengths of cultural property disaster management capacity will be sustainable and the vulnerable areas will be improved and supplemented in mid to long term.

한국어

현대사회는 인위적 재난과 자연재해로 인해서 피해가 증가하고 있고, 인류 문화재 또한 재난사고가 끊 임없이 발생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문화재 재난관리 분야에 대해 능동적으로 시스템 전체를 평 가할 수 있는 RAG(Resilience Analysis Grid) 분석을 실시하였다. 평가항목은 핵심 4역량(예측, 모니터링, 사전대응, 안전학습)으로 진행하였다. 전문가 그룹을 구성하여 세부질문을 선정하였고, 델파이 분석을 통 해 세부평가항목을 도출하였다. 델파이 기법 결과로 선정 된 각 역량별 10개 세부항목과 총 56개 진단항 목에 대해 문화재 재난관리 역량을 평가하였다. 평가결과 예측역량(3.63/5.0), 모니터링 역량(4.47/5.0), 사 전대응 역량(4.49/5.0), 안전학습 역량(1.61/5.0)으로 평가되었다. 특히 예측 및 안전학습역량이 취약하였고, 취약한 항목에 대한 보완을 통해 전체역량을 만족할 만한 적정 수준(4.55/5.0)으로 향상시킬 수 있을 것 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문화재 재난관리 역량의 강점은 지속가능하게 하고 취약한 부 분은 중·장기적으로 개선, 보완함으로써 효율적으로 문화재 재난을 관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목차

요지
Abstract
1. 서론
2. 연구 배경
3. 연구 방법
3.1 재난관리 평가 모델 개발
3.2. 레질리언스 역량진단 세부항목 선정
4. 문화재 재난관리 역량평가 결과
4.1 예측
4.2 모니터링
4.3 사전 대응
4.4 안전학습
5. 고찰
6. 결론
Reference

저자정보

  • 양혜진 Yang, Hyejin. 전주대학교 문화재방재연구소 연구원
  • 김동현 Kim, Donghyun. 정회원. 전주대학교 소방안전공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