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목조문화재의 소방안전대책에 관한 연구 - 강원도 전통사찰 중심으로 -

원문정보

A Study on the Fire Safety Measures of Wooden Cultural Properties - Taditional Temple in Gangwon-do -

박영주, 홍이표, 이해평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ims to find problems of fire-fighting safety measures for wooden cultural properties and suggest proper improvement measures. To find problems, the definition of cultural properties and based on the law about cultural properties and architectural structures of wooden cultural properties, their distinct characteristics were examined. Then focusing on the cases of fire at traditional Buddhist temples, the causes and characteristics of fire were analyzed. In addition, the present status of the fire safety system of traditional Buddhist temples was analyzed by investigating fire prevention facilities of traditional Buddhist temples in Gangwon Province. The analysis result showed that in the present situation, traditional Buddhist temples are vulnerable to fire, public fire departments have difficulties dealing with initial-stage fire, the current fire prevention system has limitations, there is an insufficiency of fire-fighting laws and systems for cultural properties, and fire suppression methods have problems. This means a more reinforced legal system is needed and it is required to install fire-fighting facilities, which suit characteristics of cultural properties and improve the fire protection control system of Buddhist temples by changing the standard on the appointment of fire prevention managers. Moreover, there is a need to reinforce Buddhist temple disaster prevention for providing against big forest fire and improve fire suppression measures, including a prior consultation on spots to destroy in case of fire.

한국어

본 연구에서는 목조문화재 소방안전대책의 문제점을 도출하여 개선 대책을 제시 하고자 한다. 문제 점 도출을 위하여 문화재 정의 및 문화재관련법, 목조문화재 건물구조 등을 통하여 문화재의 특수성 을 파악하고 전통사찰에서 발생한 화재사례를 통하여 화재원인 및 화재특성에 대하여 우선 분석하였 다. 또한 강원도 도내 전통 사찰의 화재예방시설현황을 파악함으로서 전통사찰의 화재안전시스템 실 태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현행 상 문제점으로는 화재에 대한 취약성 및 공공소방대 초기화재대응 곤란, 현재 화재예방시스템의 한계, 문화재관련 소방안전 법규 및 제도 미비, 화재 진압방식의 문제가 존재하였다. 따라서, 좀 더 강화된 법규체제가 필요한 것으로 검토되었고, 문화재 특성에 적합한 소방 시설을 설치하고 방화관리자 선임 기준을 변경하여 사찰의 방화관리체계를 개선해야 하며, 또한 대형 산불에 대비한 사찰 방재를 강화하고 화재 시 사전 파괴지점 협의 등의 진압대책도 개선되어야 할 것으로 분석되었다.

목차

요지
Abstract
1. 서론
2. 문화재 관련 법
3. 목조 문화재의 화재특성
3.1 목조 건축물의 화재성상 고찰
3.2 전통사찰의 화재위험성 분석
4. 전통사찰 화재발생 현황 및 실태
4.1 전통사찰 화재발생 및 피해 현황
4.2 전통사찰의 화재예방시설 현황
5. 소방안전현황의 문제점 고찰
5.1 화재안전관리적인 문제점
5.2 관련법 및 제도적인 문제점
5.3 대형 산불 발생에 따른 문제점
5.4 목조문화재 화재진압대책의 문제점
6. 소방안전대책의 개선방안
6.1 법ㆍ제도적인 측면의 대책
6.2 대형 산불 발생에 따른 화재예방대책 개선
6.3 목조문화재 화재 진압대책 개선
7. 결론
감사의 글
Reference

저자정보

  • 박영주 Park, Youngju. 정회원∙강원대학교 소방방재학부 초빙교수
  • 홍이표 Hong, Yipyo. 강원소방본부 동해소방서, 화재조사관
  • 이해평 Lee, Haepyeong. 정회원∙강원대학교 소방방재학부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