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육조시대 산수화론의 形神觀 연구 - 「畵山水序」의 불교적 고찰을 중심으로

원문정보

A Study on Form and Spirit ideas of Landscape theory in the Six Dynasties Period - Focused on Hua shan-shui hsu -

육조시대 산수화론의 형신관 연구 - 「화산수서」의 불교적 고찰을 중심으로

김수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the Buddhist history of China, the Period of Six Dynasties is the period of ideological co-existence and confrontation for the foreign religion of Buddhism against Confucianism and Taoism. Under the circumstance, the issue of existence and non-existence of form and spirit was resulted in sharp dispute between the people of pro-Buddhism and anti-Buddhism regarding the Chinese understanding of samsara (the eternal cycle of birth, death, and rebirth) and retributive justice. While there was this dispute, Zong Bing(宗柄) of Eastern Jìn Dynasty drafted 「Ming Fo lun(明佛論)」on the basis of influence from his master, Lushan Huiyuan(廬山 慧遠) with the idea of Imperishable form-spirit ideas and presented with powerful pro-Buddhism. On the basis of the form-spirit ideas that denied monistic occurrence and extinction of form and spirit, he proposed the existence of spirit still surviving after the extinction of form. For Zong Bing, spirit that existed along by breaking away from the restraint of the form implies the return of original spirit, ultimatum for Buddhist principles as well as Dharmakaya itself. In addition, it implicates through the landscape as he marches toward the exclusively existing spirit. Originally, the landscape for famous people of the Period of Six Dynasties had been revered as the space to break away from the social chaos and personnel conflict as well as escaping from the restraint of moral principles. Zong Bing also toured all around the landscape with his passionate aspiration on such landscape all through his life, and furthermore, he handled the development of spirit at the level of Buddhist asceticism through his tour. In other words, for Zong Bing, the landscape is the realization of Buddhist doctrines as well as the space of divine response that is the foundation for sacred men to clear spirit in a way of fulfilling the truth in the form of character. Through 「Hua shan-shui hsu(畵山水序)」, he demonstrated the relativity of sacred man and landscape, as well as landscape and landscape painting, and considered that the function as the clearness of spirit for landscape actual existing is consistently applied and operated on the object of landscape painting. The interaction between landscape and landscape painting that he mentioned would be understand as the same logic to have the image for a relation becomes an object to be responsive to the high dignity of Dharmakaya. As such, his landscape painting theory that transformed the idea of Imperishable Spirit of Buddhism into the landscape painting theory clearly demonstrates how closely landscape and landscape painting, and the realization of Buddhism related with respect to the relativity of form and spirit. As such, the ideological system that Zong Bing structured has been accepted as comprehensive materialization for the implication of landscape perception and Buddhist acceptance as the space to break away with the meaning of transcending the world.

한국어

중국 불교사에 있어 육조시대는 외래종교인 불교가 유·도교와의 사상적 공존과 대립 을 이어가던 시기라 할 수 있다. 그 가운데 육체[形]와 정신[神]의 존속과 비존속의 문제 는 윤회와 인과응보의 중국적 이해에 관한 호불·배불론자 간의 첨예한 논쟁을 낳게 된다. 이러한 논쟁의 가운데에서 동진의 종병은 스승인 여산 혜원의 신불멸적 형신관의 영 향을 받아 이를 바탕으로 한 명불론을 작성하여 강력한 호불론을 제시한다. 그는 形과 神 의 일원론적 발생과 소멸을 부정하는 형신관을 기반으로, 形의 소멸 이후에도 존속하는 神의 존재를 상정한다. 종병에게 있어 이 形의 속박을 벗어나 독존하는 神은, 본래적 神 의 회귀이자 불법의 궁극이며 곧 法身이 된다. 또한 그는 이 독존하는 神으로의 나아감을 山水를 통해 말한다. 본래 육조시대의 명사 들에게 산수란 명교의 속박을 벗어나고 사회의 혼란과 인사의 갈등에서의 탈피를 이룰 수 있는 공간으로 숭상되었다. 종병 역시 일생 그러한 산수에의 열망을 품고 산수간을 유 람하였으며, 나아가 그는 이 유람을 통한 정신의 창달을 불교적 수행의 차원에서 다룬다. 즉 종병에게 산수란 佛道의 구현인 동시에 感應의 공간으로 기능하며, 형질을 가지고 있 으면서도 道를 꾸미고 聖人에게 있어 神을 명징케 하는 터전이 된다. 그는 「화산수서」를 통해 성인과 산수, 그리고 산수와 산수화의 관계성을 밝히며, 실재하는 산수의 神의 명징 이라는 기능이 산수화라는 物에도 동일하게 적용되어 작동된다고 본다. 그가 말한 이와 같은 산수와 산수화 간의 작용은, 機緣이 되어주는 象이 법신의 위용에 감응하는 事物이 되는 것과 같은 이치로 풀이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신불론적 불교사상을 산수화론으로 구현시킨 그의 산수화론은 形과 神의 관계성을 기반으로 산수와 산수화, 그리고 佛道의 체현이 어떻게 긴밀히 관계하고 있는 가를 여실히 보여준다. 이렇게 종병이 구축한 사상체계는 세속의 초월을 의미하는 탈피 적 공간으로써의 산수인식과 불교적 감응의 의미를 종합적으로 구현한 것이라 할 수 있다.

목차

<국문요약>
Ⅰ. 서론
Ⅱ. 宗炳의 형신관
Ⅲ. 山水의 불교적 함의
Ⅳ. 「화산수서」와 佛道의 體現
1. 神의 구현
2. 暢神의 불교적 해석
Ⅴ.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김수진 Kim Sujin. 동국대학교 불교학과 박사과정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