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A study on phonological system of 「Un-beop-jik-do」in 「Un-hak-bon-won」in I-su-sin-pyeonof volume 20 by yoon-suk Hwang
황윤석의 『이수신편』 권이십 「운학본원」안의 「운법직도」 음운 특징 연구
초록
영어
「Un-beop-jik-do」in 「Un-hak-bon-won」in 『I-su-sin-pyeon』 of volume 20 is important equal rhyme book in Joseon Dynasty. 「Un-beop-jik-do」of yoon-suk Hwang described the 「Yunfazhitu」of 『Zihui』 which is written by Mei ying zuo. There are three difference between 「Un-beop-jik-do」and 「Yunfazhitu」. First, yoon-suk Hwang transcribed final of level tone, falling-rising tone, falling tone and entering tone by Hoon-min-jeong-eum. Second, Hwang referred the character of final of each table. Third, Hwang described each final in map. Hwang mentioned that he refered the sound of 「Sam-un-seong-hwi」, but the final of Xie(蟹) group, Xiao(效) group, Gengzeng(梗 曾) group, Dangjiang(宕江) group, Zhen(臻 )group, Shan(山) group were different. And he also mentioned about the change of the final -m into final -n, and colloquial and literary reading of Dangjiang(宕江) group. Compared with 「Hongwuzhengyun」, two or three finals are amalgamated into one final in rhyme Jiao(驕), Gong(公), Jing(京), Guang(光), Jiang(江), Ge(歌), Jian(艱). And compared with 「Zhongyuanyinyun」, we can find same changes in final -m into -n, I head vowel in Xie(蟹) group of Jian(見), u head vowel in Dangjiang(宕江) group of Zhuang(莊). In conclusion, the phonological system of 「Un-beop-jik-do」is different from 「Sam-un-seong-hwi」, 「Hongwuzhengyun」 and 「Zhongyuanyinyun」. Except Hwang transcribed final -m with final -n and colloquial and literary reading of Dangjiang(宕江) group, he basically followed the phonologinal system of original version of 「Yunfazhitu」.
한국어
黃胤錫의 『理藪新編』 卷二十 「韻學本源」안에 실린 「韻法直圖」는 조선시대 저술된중요한 등운학 방면의 저술로, 1774년에 지어졌다. 이는 梅膺祚의 『字彙안의 「韻法直 圖」를 기록한 것이다. 황윤석의 저술을 「韻法直圖」원본 「韻法直圖」의 형식과 비교해보면 다음과 같은 차이를 지닌다. 첫 번째, 각 圖의 平, 上, 去와 入에 해당하는 운모를 각각 한글로 기록하였다. 두 번째, 각 圖에 나타난 운모의 특성이나, 둘 이상의 圖 중 유사한운모를 갖고 있는 것을 기록하였다. 세 번째, 經, 緯로 나누어 각각 해당 성모와 각 圖에해당하는 呼와 운모를 한글로 기록하였다. 황윤석은 이것을 지을 때에 『三韻聲彙』의 注 音을 많이 참고 하였다고 언급하였다. 따라서 본고는 『三韻聲彙』의 注音과 비교를 진행하였다. 뿐만 아니라 당시 관화의 대표음이었던 『洪武正韻』, 北方音의 변화를 보여주는 『中原音韻』 과도 비교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사실을 알 수 있었다. 먼저 『三 韻聲彙』와는 蟹攝 二等字, 效攝 二等字, 梗曾攝 開口 一二等 幫組字, 宕江攝 開口 莊組, 臻攝 幫組字, 山攝 合口 一等字의 운모가 다르며, -m운미의 -n운미로의 변화나 宕江攝 의 文白異讀에 대해 언급하였다는 차이점을 보였다. 다음으로 『洪武正韻과 상이함을갖는 韻으로는 驕韻의 三等 見組字, 公韻의 合口 三等 知章組字, 京韻의 –n, -m운미, 光 韻의 開口 三等 莊組와 開口 一等 精組字, 江韻의 知章組字, 歌韻의 泥, 來母字, 艱韻의合口 一等字가 있었다. 또한 입성자가 모두 음성운으로 기록된 점, -m운미가 -n운미로변화한 점, 蟹攝 見組字에 i개음이 생긴 것, 宕江攝 莊組字에 u개음이 생긴 것과 같이 『中原音韻』처럼 더 변화한 모습을 보여주기도 하였다. 종합적으로 볼 때, -m운미와 -n운미의 글자를 倂記한 것과 宕江攝의 文白異讀을 언급했다는 점은 황윤석의 저술에서 독창적인 부분으로 평가된다. 그러나 기본적으로 황윤석은 원본 梅氏가 한 圖에 한 韻母를 부여하는 형식을 계승하였다.
목차
Ⅰ. 서론
Ⅱ. 『理藪新編』卷二十의 「韻法直圖」의 注音 양상
Ⅲ. 『理藪新編』卷二十 「韻學本源」의 「韻法直圖」의 음계 특징
Ⅳ.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