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외교의 외연적 개념 구도를 통한 공공외교와 지방(정부)외교의 특성 및 상관성 분석

원문정보

Reciprocal Relations between Public Diplomacy and Paradiplomacy under the Comprehensive Analytic Scheme of World Politics and Diplomacy

송기돈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Since the ancient times, principal agents of political communities have institutionalized diverse modes of diplomacy, as their trans-border interactions, through their continuous constructive and reconstructive process. After the Thirty Years War in 17th century, the first modern mode of diplomacy was created among sovereign-territorial nation-states’ central governments, and it is transformed into the mew diplomacy differentiated from the former traditional diplomacy. According to thereafter overall changing diplomatic environments, diverse modes of diplomacy had been erupted, and especially among those modes, public diplomacy in the diplomatic realms of non-governmental actors and soft power issue-areas, and non-central governments(NCGs)’ paradiplomacy came to be recognized as two enlarged newly diplomatic sub-fields from the unique theoretical and practical terms of diplomatic stud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oretical and practical characteristics of paradiplomacy of local authorities relating to its networking connection to public diplomacy The research framework of this study is composed of temporal background of the respective constituents of main categories(or concepts): academic fields of international politics and foreign policy and global policy, and general diplomacy(pre-modern traditional diplomacy, modern traditional diplomacy and modern new diplomacy). Based on this scheme, reciprocal relationship between public diplomacy(traditional and new public diplomacy) and paradiplomacy(traditional and new paradiplomacy) is re-coordinated in terms of affinitive and differentiated features of their respective conceptualization, issue-areas and approaches. In conclusion, though two modes of diplomacy share some inter-spaces, their networking connection can be readjusted and re-regulated from the diverse different perspectives founded upon the principle of reciprocal subsidiarity.

한국어

고대 시기 이후 정치공동체의 행위주체들은 대외적 목표의 실현을 위해 초경계적 상호작용의 대표적 발현 형식인 외교양식을 지속적·단속적으로 제도화해 왔다. 17세기에 구축된 주권국가 중 앙정부 중심의 근대 외교양식이 창출되었으며, 20세기 초를 기점으로 이전까지의 전통외교와는 차 별화된 신외교, 그리고 현재의 다양한 탈근대형 외교양식으로 진화되었다. 그 과정에서 비정부주 체와 새로운 외교영역을 초점화한 공공외교와 이차적인 정부주체로서의 지방정부의 대외적 관여 양식인 지방외교도 독특한 이론적·실제적 관점의 확장적 대상으로 부상하였다. 이런 배경에서 본 연구는 현대의 새로운 외교양식의 대표적 유형으로서 공공외교와 지방외교의 상호적 관계를 새롭 게 설정하여 이해하기 위한 분석적 검토를 연구목적으로 설정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연구목적에 기여할 수 있는 외연적 개념 구도(국제정치, 외교정책, 외교)의 분석적 검토를 통해, 공공외교와 지방외교가 각각 이 구도의 개념들과 연계될 수 있는 상관적 의미를 검토하고자 한다. 공공외교와 지방외교는 초기의 개념, 관련 문제영역 및 접근방식 등 다양한 차원에서 변화가 모색되고 이에 따라 학자들의 이론적·실제적 견해가 다양하게 제시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시간적 계기에 있 어서는 탈냉전 또는 2000년 대 이후, 국제정치 범주에서는 세계정치 또는 지구정치, 외교정책 범 주에서는 글로벌 행정·정책, 그리고 외교 범주에서는 탈근대 외교양식이 공공외교 및 지방외교와 연계되는 상관성을 지닌 개념으로 인식될 수 있다. 공공외교와 지방외교에 대한 학문적 인식은 개 념, 문제영역, 접근법에 있어 유사성과 차별성을 모두 공유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현재적 인식에서는 양자의 본질적 변화에 따라 기존의 유사성과 차별성이 새롭게 규정될 수 있으며, 이들 은 매우 직접적인 상호 보충성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으로 분석되었다.

목차

요약
I. 서론
II. 연구의 분석 개념 구도와 설정 근거
III. 공공외교와 지방외교의 개념 및 특성
1. 공공외교의 개념과 특성
2. 지방외교의 개념과 특성
IV. 외연 개념의 분석적 검토와 공공외교·지방외교 관계
1. 국제정치 범주: 국제정치, 국제관계, 세계·지구정치
2. 외교정책 범주: 외교정책과 국제·지구적 정책
3. 외교 범주: 전통외교, 신외교, 탈근대 외교
V. 외연적 개념과 공공외교 및 지방외교의 관계 분석
1. 외연적 개념과 공공외교의 상관성
2. 외연적 개념과 지방외교의 상관성
3. 공공외교와 지방(정부)외교의 상관성
VI.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송기돈 Song Khee-don. 전북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