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茶山 丁若鏞의 실용적 茶인식에 관한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Dasan Jeong Yakyong's Practical Recognition on Tea

다산 정약용의 실용적 茶인식에 관한 연구

한윤숙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researched Dasan's practical recognition on tea as shown in the writings and poetry related to tea left by Dasan. Dasan Jeong Yakyong (1762-1836) is a Confucian scholar of the Silhak Idea and representative tea drinker of the late Joseon Dynasty. Dasan was deeply engrossed in tea after 18 years of exile in Gangjin by his association with 兒菴(1772-1811) and 草衣禪師(1786-1866). Dasan completed his own Tea process, which is then passed on to the monks of the Daedun and Baengnyeon. Dasan is a teacher of Choyseonsa, which is referred to as 茶聖, which led to the revival of tea culture in the late Joseon Dynasty by interacting with Korean scholars such as Kim Jeong-hee, Shin-wi, and Hong Hyun-joo. The views of managing society of Dasan works as a base for practical recognition on tea. Dasan identifies human beings as new ethical practical person through holistic human. Based on scientific and practical thinking, he built a 行事-centric practical human view and pursued the community's values by emphasizing the realization of 仁 through 恕. Thus, Dasan's pragmatic views of managing society is a social embodiment of practical human views. Dasan not only saw tea as a simple tea culture, but also recognized tea as a economic resources. The theory of tea resourceing ‧ tea trade advocated utilizing the economic utility of tea. In addition, he get out of formalized tea culture and realized the practical value of the tea, utilized the Medicinal properties as a daily life culture, and sought psychological stability. Furthermore, we studied pick tea method and tea process to develop quality tea and established the theory of tea through academic research.

한국어

본 논문은 다산이 남긴 茶와 관련된 글과 茶詩에 나타나있는 다산의 실용적 茶인식에 대해 연구하였다. 茶山 丁若鏞(1762~1836)은 조선 후기 실학사상을 집대성한 유학자이며, 대표적인 茶人이다. 다산은 강진에서의 18년간의 유배생활 중 兒菴 惠藏선사(1772~1811), 草衣禪師(1786~1866) 등과의 인연으로 茶에 깊이 심취하였다. 두 사람과의 교유를 통해 다산은 자신만의 製茶法을 완성하였으며, 이것은 대둔사와 백련사의 승려들에게 전해지게 된다. 그 후 茶聖으로 일컬어지는 초의선사가 김정희 ‧ 신위 ‧ 홍현주 등의 유학자들과 교류하면서 조선후기 茶문화는 다시 일어난다. 다산은 명실공히 조선 茶문화의 中興祖이다. 다산의 경세관은 실용적 茶인식의 기저로서 작용한다. 다산은 修己治人이라는 全人的 人間像을 통해 새로운 윤리적 實踐人으로서의 인간의 실체를 파악한다. 과학적이고 실용적 사고를 토대로 하여 行事 위주의 實踐的 인간관을 구축하였으며, ‘恕’를 통한 仁의 실현을 강조함으로써 사회의 공동체적 가치를 추구하였다. 따라서 다산의 실용적 경세관은 실천적 인간관의 사회적 구현인 것이다. 다산은 茶를 단순한 飮茶문화로 보는 데 그치지 않고 經濟資源으로 인식하였다. 茶의 자원화 ‧ 茶무역론을 통해 茶가 지니는 경제적 효용성을 활용할 것을 주장하였다. 또한 격식화된 茶문화에서 벗어나 茶의 실용적 가치를 깨닫고 일상의 생활문화로써 茶의 藥性을 활용하였으며, 심리적 안정을 꾀하였다. 나아가 採茶와 製茶法을 연구하여 질좋은 茶를 개발하고 학문적 연구를 통해 茶 이론을 확립하였다.

목차

<논문요약>
Ⅰ. 서론
Ⅱ. 실용적 경세관
Ⅲ. 茶의 경제자원론
Ⅳ. 茶의 藥治기능론
Ⅴ. 茶의 心治기능론
Ⅵ.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한윤숙 Han, Yoonsook. 성균관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