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레오나르도 다 빈치의 <인체비례도>와 퇴계 이황의 <천명도> 비교

원문정보

Comparison between ‘The Vitruvian Man’ by Leonardo da Vinci and ‘TienMing Drawing’ by Toegye Yi Hwang

박상원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the interpretation based on the iconography system, there are similarities between by Toegye and by Leonardo da Vinci. First, the common similarit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y focusing on a microcosm such as humans as the realization of the macrocosm like heaven and earth. Also, in the aspect of iconography, it is based on the form of circular heaven and square earth. The circle means temporal permanence, spirit, the law of nature, amicability, equality, and completeness while the square means the flow of earth, fixation, vitality, confrontation, natural objects, and continuity. Of course, in order to represent human, Leonardo da Vinci expressed human’s body into the perfect proportion while Toegye used human’s main body of mind called ‘四端七情’. Both iconographies define the heaven as circle, the earth as square, and humans as triangle. The whole system is based on the trichotomous world view called ‘heaven-earth-human’. The same icons of heaven, earth, and human perceived by the different cultural areas in Italy and Joseon of the 15th century, are the counter-evidence showing that such circle, square, and triangle(◯ □ △) are the instinctive imaginative geography cognized by humans. This is a proof showing that humans’ nature has many things in common, and the differences highlighted here might be the starting point of different paths to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the East and the West. was the symbol of ‘Renaissance man’ in the Western Europe while was the representative symbol of classical scholars ‘Sun-bi’ in the Joseon Dynasty period. This study aims to cognize differences in the world view between the East and the West, by comparing the world views of Leonardo da Vinci who is the representative Renaissance man of the West in the 15th-16th century and Toegye who is the representative man with the spirit of virtuous scholars in Korea. The West continuously proceeded the material development focusing on phenomenology, science, mathematics, anatomy, and architecture while the East promoted the development of practical ethics. Such differences in the civilization between the East and the West fully started in the 15th century, and the differences shown in and could be interpreted as an important point separating the cultures of the East and the West.

한국어

도상체계(Iconography system)를 바탕으로 해석해 본다면 퇴계의 <천명도>와 레오나르도 다 빈치의 <인체비례도> 간에는 부합하는 유사성이 존재한다. 우선 하늘과 땅이라는 대우주의 실현체로써 소우주, 즉 인간을 중심에 두고 그 관계성을 규명하고 있다는 것이 공통된 유사성이다. 또한 도상의 형태로 보면 천원지방(天圓地方)의 형태를 갖는다. 원(圓)은 시간의 영속성, 정신, 천리(天理), 원만(圓滿), 평등(平等), 완전성을 뜻하고 방(方)은 땅의 순리, 고정성, 생명력, 대립, 자연물, 지속성을 뜻한다. 물론 사람을 형상화 하는데 있어 레오나르도는 인간의 육체(肉體)를 완벽한 비례로 표현했고, 퇴계는 사단칠정(四端七情)이라는 사람의 심체(心體)를 사용했다. 두 도상 모두가 하늘은 동그라미, 땅은 네모로 그 형상을 규정하고 사람은 세모의 형태를 바탕으로 확장하고 있다. 천지인(天地人)이라는 3분법의 세계관을 바탕으로 전체적인 체계를 이루고 있다. 15세기 이탈리아와 조선이라는 서로 다른 문화권에서 하늘과 땅 그리고 사람을 인식하는 도상(Icon)이 같다는 것은 동그라미, 네모, 세모(◯ □ △)가 인간이 인지하는 본능적인 심상지리라는 반증이기도 하다. 그것으로 인간의 심성이 서로 상통한다는 증거를 찾을 수 있으며, 또한 여기에서 부각되는 차이는 동서양 역사발전의 서로 다른 행로의 시작점으로도 볼 수 있다. <인체비례도>가 서구유럽 ‘르네상스인’의 표상이었다면, <천명도>는 조선 ‘선비’의 대표적 표상이었다. 15-16세기 서양 르네상스인의 대표적인 인물 레오나르도 다 빈치와 한국 선비정신의 대표적인 인물 퇴계가 인식했던 세계관을 각자의 그림을 통해 비교함으로써 동서양 세계관의 차이를 인식해 보고자 한다. 서양이 현상학, 과학, 수학, 의학, 해부학, 건축학 등에 중심을 둔 물질적인 발전을 지속적으로 진행했다면, 서양에 비해 동양은 심학(心學)의 발전을 도모했다. 이러한 동서양 문명의 차이는 15세기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됐고, <천명도>와 <인체비례도>에 나타난 차이는 동서양 문화를 가르는 중요한 분기점으로 해석할 수 있다.

목차

<논문요약>
Ⅰ. 머리말
Ⅱ. 레오나르도 다 빈치의 <인체비례도>
Ⅲ. 퇴계 이황의 <천명도>
Ⅳ. <인체비례도>와 <천명도>의 유사성과 차이점
Ⅴ. 맺는말
ABSTRACT

저자정보

  • 박상원 Park, Sang Won. 성균관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