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조선시대 ʻ모사(摹寫)ʼ의 양상과 미술사적 의미

원문정보

Making Copies during the Joseon Period and its Meaning of Art History

고연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Making copies of previous paintings was one of the most significant training course for painters and a basic standard of evaluation for a painterʼs ability during the premodern period of the East Asia including the Joseon Dynasty. It was also regarded as a sincere attitude awards the masterpieces of the past. By making copies, the images of the original paintings could be moved to distant places and be passed down to the offsprings. Ritual portraits were copied over and over for hundreds of years by the posterity. Lots of copied landscape paintings were produced for the people who wanted to appreciate them. In doing so, various ways for making copy, such using tracing paper, were discussed. and developed. Meanwhile, there appeared problematic things related to making copies; for instance, the lack of description of real objects, absence of creativity of the artist, and confused situations when we could not distinguish the original work from the copied ones. However, the lack of description made fantastic images in a positive light, absence of creative individuality was not the standard of evaluation at that time, and the confused situation was made by the immoral, unscrupulous or careless people. More serious problem is that many copied works produced during the Joseon were regarded as forgeries today. By understanding the previous painting culture of making copies, we can use the copied paintings as research materials for studying art history, for example, survey of historical change in the preference of a specific aspect of an artist, consumption culture related to paintings, or different function of the paintings in history, etc.

한국어

조선시대 모사(摹寫)는 그림제작의 기본 태도로 이해되었고 학습(學習)을 위한 필수적 방법이었으며 화가의 실력을 평가(評價)하는 기준으로 작동했다. 모사는 또한 회화작품을 시간적으로 공간적으로 전달(傳達)하는 수단이었기에, 특히 의례용 초상화 (肖像畵)와 인기를 누린 감상용 회화작품에서 많은 모사가 이루어졌다. 모사는 또한 회화작품 제작의 방법이었다. 예컨대 기록화(記錄畵)와 장식병풍(裝飾屛風) 공신도 초 상화 일련 제작 및 계회도(契會圖) 제작에 모사 작업이 수반되었다. 그리하여 모사의 방법인 임(臨), 모(摹)의 구체방법의 논의가 이루어졌다. 그러나 모사본의 무수한 제 작 속에서 모사 작업의 문제(問題)가 발생하였고 지적되었다. 관찰의 묘사(描寫)가 결 여되는 표현의 반복, 개성적(個性的) 창작(創作)이 근원적으로 미흡하다는 점이 문제 였으며, 또한 모사본의 제작이 이끄는 위작(眞僞)의 혼란이 심각하게 제시되었다. 그 러나 진위의 혼란은 모사 제작의 부작용이자 부도덕한 의도의 결과이며, 묘사의 오류 및 물상 왜곡은 중세기 문화구조에 대한 이해를 기반으로 긍정적 측면이 고려되어야 하고, 창작의 결여 문제는 예술관 패러다임의 변혁에 동반된 가치관의 변화로 이해할 일이다. 이에, 오늘날 회화사 연구자는 조선시대 모사의 제작 양상과 모사에 관련된 이 론을 통하여 모사의 실상을 다각적으로 파악하고 모사제작이 가진 미술사적 의미를 인 식함으로써 전근대기 회화사 서술과 연구에서 특정 작가와 시대문화에 대한 새로운 실 상파악 및 회화수요와 향유 상황 등의 다층적 연구로 나아갈 수 있다. 이로써 전칭작 혹은 위작으로 분류되어 연구에서 배제된 작품들을 회화사의 영역으로 의미있게 영입 할 수 있다.

목차

<논문요약>
Ⅰ. 머리말
Ⅱ. 모사의 기능과 가치
Ⅲ. 모사의 부작용과 문제
Ⅳ. 모사의 미술사적 의미
Ⅴ.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고연희 Kho, Youenhee. 성균관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