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A Study on Graphic Therapy in the View of Holistic Healing
초록
영어
This study reviewed the literature on holistic healing and described the field of healing of graphic therapy. As the spirit, focusing on the relationship restoration with God, for oneself, analyzing one's talent and potentials directly, developing one self, acknowledging the spiritual human having the disease and deep hurts, checking the feedbacks, bealing and caring for human's whole life, and then, to make the healing ministry come true in the whole world ministry places. But when to make the ministry in the overseas, the poor and not learned under privileged needy levels, for example, the indigenous people, handicapped people, the needy, unemployed persons, cause they didn't have the good educations. The words of the question airs delivered for the counseling and the psychological therapy of the healing objects, not only not understanding the used conversation cores between nations and nations correctly but also there are many cases not to know the foreign languages. Applying the graphic therapy that all world people can use easily, the huge fields data including the spirit, soul, body, and society contents.
한국어
연구는 영·혼·육 총체적 치유에 관한 고찰과, 총체적 치유의 한 영역인 도형상담 (Graphic therapy)의 치유 분야를 기술하였으며, 융합기술 발전에 따른 도형상담의 정 보화 필요성과 계획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치유에서는 치유의 대상인 인간을 몸과 정신과 영으로 구성하나, 나눌 수 없는 전인 (Whole being)으로 이해한다. 육신을 위하여 의·과학 및 보완대체의학, 정신을 위하 여 치유상담, 영을 위하여 치유신학 및 치유선교학, 그리고 사회 환경, 자연환경을 위해 서는 사회복지학 및 자연환경 개발 및 보존학 등을 연구하여 총체적치유(Holistic healing) 사역이 요구되어진다. 이를 위해 도형상담치유는 기독교적 인간이해를 통하여 총체적 치유의 원리를 적용하고, 영적 으로 하나님과의 관계회복에 초점을 맞추고, 자신의 재능과 잠재력을 분석함으로 자기 를 개발해 가며 병들고 상처 받은 몸과 영혼을 스스로 깨달아 궤도를 수정하면서 평생 치유하고 돌보기 위함이다. 따라서 4가지(○, □, △, S)도형만으로 쉽게 활용하여 도형상담을 삶에 적용하고 영적, 정신적, 육체적, 사회적 내용을 포함한 데이터를 새로운 융합 기술발전으로 전 세 계 모든 계층에서 연결성(Connectivity)으로 교류하고자 본 도형상담 치유를 고찰한다.
목차
Ⅰ. 서론
Ⅱ. 총체적 치유의 이해
1. 치유의 개념
2. 창조와 건강상태
3. 타락과 질병상태
4. 회복과 치유상태
5. 완성과 온전 상태
6. 총체적 치유의 돌봄
Ⅲ. 도형상담치유의 실제적 이해
1. 도형상담치유의 개념
2. 도형상담치유의 중심 분석 방법 이해
3. 도형상담치유의 치유영역 구분과 피드백(궤도수정) 이론 이해
4. 도형치유의 질병치유를 위한 배경(Background)이론 이해
5. 도형상담치유에서의 치유상태 이해
6. 도형상담치유 사례
Ⅳ. 도형상담치유의 정보화 시스템의 이해
1. 오프라인 프로그램 및 총체적 치유의 네트웍 구성.
2. 가상 도형상담 프로그램과 전문 데이터 공급
3. 총체적 치유의 임상학 정리 및 커리큐럼과 새로운 학문 완성.
Ⅴ.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