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초·중등학교 다문화감수성교육의 한계와 다양화 방안 모색

원문정보

A Study on the Limits and Diversification of Multicultural Sensitivity Education in Elementary·Secondary School

임선일, 오영훈, 조인제, 이용민, 이은경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limitations and alternatives of the current multicultural sensitivity education through teacher interview and expert FGI on the current multicultural sensitivity education for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Gyeonggi province, and to suggest a new program.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multicultural sensitivity education conducted at the unit school can be classified into three types: 1) multicultural experience activity type 2) curiosity induction type and 3) teaching material utilization type. Such a program is a typical form that is universally implemented in unit school levels, but because of its simplicity, a more systematic program is needed for each school level. Students are generally satisfied with the multicultural sensitivity education offered by the school, but satisfaction with the simplicity of the educational program and teaching methods of the instructor are not as high. The most important research result for the diversification of multicultural sensitivity education is that the curriculum should be different between tha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at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should be different. In the cas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y tend to accept the contents of education naturally, rather than criticizing them, which can be called as the 'unconscious acceptance stage'. The specific method of education in this case could be, for example, guide the students to minimize the unfamiliarity toward other cultures naturally while being at school. In the case of secondary school students, it is necessary to go beyond the stage of unconscious acceptance and proceed to the 'curiosity fulfillment level'. This is a process of intentionally and consciously accepting another culture after unconsciously accepting it, and it can be said that this process is the process of internalizing the 'righteousness of difference'. Specific educational methodologies include, for instance, group activities. The last stage for enhancing multicultural sensitivity is the 'mutual acceptance stage', which is to define one's ego not by surveying others unilaterally from his own standpoint, but by objectively viewing himself from an outside standpoint. Specific education methods include, for example, role play. This study presents a new educational plan through the analysis of multicultural sensitivity education conducted in school. Through this study, the hope is that the methodology of multicultural sensitivity education can be applied more diversely in school.

한국어

본 연구는 경기도 내 초·중·고에 재학 중인 학생들을 대상으로 현재 실시되는 다문 화감수성교육에 대하여 교사면담과 전문가 FGI를 통해 현 다문화감수성교육의 한계와 그 대안을 구체적으로 살펴봄으로써, 새로운 다문화감수성교육 프로그램을 제안하였다. 연구 결과, 현재 단위학교에서 실시되는 다문화감수성교육은 크게 1) 다문화 체험활 동형, 2) 호기심 유도형, 3) 교재 활용형 등의 세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 은 단위학교 차원에서 보편적으로 실시되는 대표적인 형태지만, 단순한 형태를 띠고 있 기 때문에 학교급별로는 더 체계화된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학생들은 전반적으로 학교 에서 실시하는 다문화감수성교육에 만족하고 있지만, 교육프로그램의 단순함과 강사의 교수방법에 대해서는 만족도가 그리 높지 않다. 다문화감수성교육의 다양화를 위한 가장 중요한 연구결과는 초등학생과 중·고등학 생의 다문화감수성교육 커리큘럼이 다르게 구성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초등학생의 경우, 교육내용을 비판하기보다는 아주 자연스럽게 수용하는 측면이 있 는데, 이를 ‘무의식적 수용단계’라고 칭할 수 있다. 구체적인 교육 방법은 예를 들어, 생활 다문화교육으로써 말 그대로 학생들이 학교에서 생활하면서 자연스럽게 다른 문화 에 대한 이질감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지도하는 일이다. 중·고등학생의 경우, 무의식적 수용단계를 넘어 ‘호기심 충족단계’의 교육 프로 그램이 필요하다. 이는 다른 문화를 무의식적으로 수용한 다음에, 의도적이고 의식적으 로 수용하는 과정으로서, ‘다름의 당연함’을 내재화시키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구체적인 교육 방법론은 예를 들어 모둠활동 활용 등이다. 다문화감수성 증진을 위한 마지막 단계는 ‘상호수용 단계’라고 할 수 있는데, 이는 자기의 입장에서 일방적으로 타자를 조망하지 않고, 반대로 다른 사람의 입장에서 자신 을 객관적으로 바라보면서 자아를 정의하는 일이다. 구체적 교육 방법은 예를 들어 역할 극 활용 등이다. 본 연구는 그 동안 학교 현장에서 실시되는 다문화감수성교육의 분석을 통해 새로운 교육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학교현장에서 다문화감수성교육 방법론이 더 풍부하고 다양하게 적용되기를 희망한다.

목차

국문초록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1. 다문화감수성
2. 다문화감수성 함양을 위한 교육 콘텐츠
3. 선행연구
III. 연구방법
1. 교사면담
2. 전문가 FGI(Focus Group Interview)
IV. 연구결과
1. 교사면담을 통한 다문화감수성교육의 한계
2. 전문가 FGI 결과
V.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임선일 LIM, Sun Il. 경기도교육연구원 연구위원
  • 오영훈 OH, Young Hun.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수
  • 조인제 CHO, In Je. 경기대학교 초빙교수
  • 이용민 LEE, Yong Min. 건양대학교 교수
  • 이은경 LEE, Eun Kyoung. 경기도교육연구원 연구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