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청일전쟁기 朝-淸 항일 연합전선의 구축과 동학농민군

원문정보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Joseon-Qing’s AntiJapanese Alliance Front and the Donghak Peasant Army during the Sino-Japanese War

유바다

동학학회 동학학보 제51호 2019.06 pp.305-339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1894, Donghak Peasants War and Sino-Japanese War took place simultaneously in Joseon. In June 1894, Japanese army attempted to capture Joseon's Gyeongbok Palace to take control of the Joseon government and overthrow the Donghak Peasants Army. Therefore, the Donghak Peasants Army had to strategically consider its alliance with Qing's army, which was in conflict with Japanese army. The uprising of Donghak Peasants Army and the Joseon entry of Qing's army differed in purpose, but there was a kind of united front against the communal enemy of Japanese army. King Gojong first would dispatch a secret envoy to Qing from within Joseon, and Daewongun also would send a secret letter to Qing's army. Jeon Bongjun, leader of Donghak Peasants Army, responded accordingly, and was ready for second uprising in early September with Daewongun's letter. Donghak Peasants Army entered anti-Japan uprising through a medium of Daewongun to keep up with Qing's army. At that time, Min Byeong-seok at Pyeongyang also sent a secret letter to Jeon Bong-jun to engage in building an anti-Japan coalition between Donghak Peasants Army and Qing's army. Of course, the motive and purpose of each subject was different, so the united front was not very successful. Nevertheless, the slight experience of building a united front with a strong enemy of Japan became the beginning of the struggle of the two people of Korea and China deemed to spread it out since then.

한국어

1894년 조선에서 동학농민전쟁과 청일전쟁이 동시에 일어났다. 1894년 6 월 일본군은 조선의 경복궁을 점령하여 조선 정부를 장악하고 동학농민군을타도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동학농민군은 일본군과 대치하고 있던 淸軍과의제휴를 전략적으로 고려해야 했다. 동학농민군의 봉기와 청군의 조선 진주는그 목적은 서로 달랐지만 일본군이라는 공동의 적을 두고 이들 사이에 일종의연합전선이 구축되고 있었다. 먼저 조선 내부에서부터 국왕 고종은 淸에 밀사를 파견하는가 하면 대원군또한 밀서를 淸軍에 보내기도 하였다. 동학농민군 지도자 전봉준도 이에 호응하여 9월 초 대원군의 효유문을 받고 재봉기를 준비하였다. 동학농민군이대원군을 매개로 항일 봉기에 돌입하여 청군과 보조를 맞추게 된 것이다. 이때 평양에 있었던 민병석도 밀서를 전봉준에게 전달하여 동학농민군과 청군사이에 항일 연합전선을 구축할 것을 타진하였다. 물론 각 주체마다 그 동기나 목적은 달랐기 때문에 이 연합전선은 크게 성공하지 못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본이라는 강력한 적 앞에서 미약하나마연합전선을 구축했었던 경험은 이후 한국과 중국 양국 인민이 줄기차게 전개해나갈 항일투쟁의 시초가 되었다.

목차

국문초록
1. 머리말
2. 초기 동학농민군의 대외인식과 淸·日軍의 조선 출병
3. 朝-日 군사동맹 결성에 대항하기 위한 대원군과 淸軍의 접촉
4. 동학농민군-淸軍 간 연합전선의 구축과 와해
5.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유바다 Bada Yoo. 고려대학교 한국사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