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직장 내 여성을 대상으로 한 성희롱 피해의 측정과 분석방법

원문정보

Measurement and Analysis of Women’s Workplace Sexual Harassment Victimization

정진성, 이훈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Most Korean studies on the workplace sexual harassment have measured victimization in dichotomous way and fitted it with logistic regression model. This approach does not reflect the reality that workplace sexual harassment has a quite wide spectrum in seriousness and repeatability, which could lead to a wrong causality. This study attempted to include the seriousness and repeatability in measuring victimization, and adopted negative binomial regression model to fit the count data. Analyzing survey data of 698 female workers collected by the Korean Institute of Criminology resulted in several notable findings. First, measuring victimization as a count variable showed more information than the traditional binary approach does. Second, five independent variables showed different effects on victimization in the two regression models. The higher Chi-square of the negative binomial model suggested that it fits the data better than the logistic model does. Further, 95% confidence intervals of the regression coefficients were much narrower in the negative binomial model than in the logistic model, which proved that the first model might produce more exact estimates than the latter. By suggesting the new approaches in measurement and analysis, this study expects that better reality and causality of workplace sexual harassment victimization is discovered.

한국어

직장 내 성희롱에 대한 국내 연구는 성희롱 피해를 대부분 유무로 측정하고 이항변 수에 적합한 로지스틱 회귀모형을 적용해왔다. 그런데 성희롱은 개념이 광범위하여 행 위태양이 다양하고 종종 반복적으로 발생하기도 한다. 심각한 성희롱을 경험하거나 반 복적으로 피해를 당하는 경우를 단순히 피해 있음으로 측정하는 것은 실태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는 연구결과로 이어질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형사정책연구원의 2016년 설문조사자료 중 698명의 직장 여성을 대상으로 직장 내 성희롱 피해를 측정함 에 있어 심각성과 반복성을 반영해보고, 이렇게 가산자료로 수집된 피해를 음이항 회귀 모형으로 모델링하였다. 기존의 유무 방식 측정으로는 여성의 51.9%가 피해를 경험했 다는 사실만 파악되었지만, 새로운 방식을 적용하여 측정한 결과, 피해 경험이 있는 경 우 그 평균이 8.89에 달해 직장 내 성희롱이 상당히 심각하고 만연한 문제임을 알 수 있 었다. 가산변수를 모델링 한 음이항 회귀분석 결과는 로지스틱 회귀분석과 비교하여 총 12개의 독립변수들 가운데 혼인상태, 월소득, 조직내남녀차별, 약한처벌, 성역할수용에서 차이를 보였다. 모형의 설명력을 간접비교할 수 있는 카이제곱 값이 음이항 회귀모 형에서 더 큰 점, 추정 회귀계수에 대한 95% 신뢰구간이 음이항 회귀모형에서 더 좁은 점은 음이항 회귀분석 결과가 로지스틱에 비해 더 신뢰할만함을 보여주었다. 최근 많은 국외연구에서 가산자료를 이항자료로 단순화시키는 문제점을 지적하고 있다. 본 연구 가 이러한 논의를 국내에 활성화시켜 직장 내 성희롱 피해를 좀 더 상세히 파악하고 그 원인을 보다 정확히 규명하는데 도움이 되길 바란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직장 내 성희롱 피해원인에 대한 연구
Ⅲ. 연구방법
IV. 분석결과
V.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정진성 Cheong, Jin-Seong. 순천향대학교 경찰행정학과 부교수
  • 이훈 Lee, Hoon. 조선대학교 경찰행정학과 부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