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에돔에 대한 적의와 호의 : 오바댜서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Hostility and Hospitality to Edom Reflected in the Book of Obadiah

윤동녕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contents of the ambivalence of hostility and hospitality toward Edom and to find out what caused it. The Book of Genesis shows a relatively positive and tolerate attitude toward Edom and Esau, who is described as being positive, such as red, healthy, and good at hunting. In contrast, the prophecies describe Edom and Esau very negatively, and see them as ethically corrupt, because Edom had rejected his brothers, insulted them, and ignored them when they suffered. So why do Obadiah and other prophecies express hostile feelings toward Edom? It may be because of Edomites who moved to the southern part of Judah at the end of Judah. Edom began to move to southern Judah after being overtaken by Nabataeans from Arabia. In the midst of the weakening of the central control of Judah, this migration accelerated, and even after the fall of Judah, migration continued. Their migration caused the Judeans to lose their way south when Jerusalem was destroyed. For this reason, Edom was seen by the Judeans as a traitor who blocked the escape of his brothers and as an adversary as Babylon, who invaded the land of promise. But Obadiah does not regard Edom as just an adversary who betrayed Judah. Using the words “brothers,” “Esau,” and “Mount Seir,” Obadiah recalls his long-standing historical relationship between Judah and Edom, suggesting that such ties could lead to the elimination of hostile relations. Obadiah said that those who were freed from captivity would climb Mount Zion to rule the mountains of Esau (v.12), suggesting that when God restores Mount Seir, Judah would rule the country as a brother with Edom. Then Mt. Seir will no longer be called a foreign country, because the country will be the kingdom of God.

한국어

본 논문의 목적은 에돔에 대한 적의와 호의라는 양립감정의 내용을 살펴보고 그 원인이 무엇인지를 규명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에돔에 대해 적대감을 표명하고 있는 본문들과 호의를 보이고 있는 본문들을 비교 연구하였으며, 특히 오바댜서를 중심으로 에돔에 대한 이중감정의 원인과 그 해결책을 모색코자 하였다. 예언서는 에돔에 대해 적대감을 표출한다. 에돔은 이방나라를 향한 심판예언의 중요 대상이며, 유다를 괴롭힌 적대국가로기술되어 있다. 특별히 오바댜서는 다른 예언서들 보다 훨씬 자세히 또 구체적으로 유다 멸망 당시 에돔이 행한 악행들을 기록하고 있다. 하지만 오바댜서는 다른 예언서와는 달리 에돔을 형제, 혹은 에서라고부르며 형제관계를 강조하고 있다. 이러한 에돔과의 형제관계는 오경, 특히 창세기에 부각되어 있다. 창세기는 에돔이 이삭의 아들 에서의 후손이며, 가나안을 차지한 야곱처럼 세일산을 약속의 땅으로 받았다고 기술하고있다. 한편 역사서는 에돔이 이스라엘에 끼친 피해 못지않게, 이스라엘이에돔에게 행한 전쟁범죄도 자세히 기술하고 있다. 이처럼 예언서와는 달리오경은 에돔에 대해 비교적 호의적 입장을 견지하고 있고, 역사서는 대체로 중도적 입장을 취하고 있다. 그렇다면 오바댜서를 비롯한 예언서가 에돔에 대해 적대적 감정을 표출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그것은 유다말기 유다 남부 지역에 이주한 에돔인들 때문일 것이다. 에돔은 아라비아에서 몰려온 나바테아인들에게 밀려유다 남부 지역으로 이주하기 시작하였다. 유다 말기 중앙의 통제가 약화된 틈을 타 이러한 이주는 가속되었고, 유다 멸망 이후에도 이주는 그치지않았다. 이들의 이주로 말미암아 예루살렘 멸망 시 유대인들은 남쪽으로의탈출로를 상실하게 되었다. 그 때문에 유대인들에게 에돔은 형제의 탈출을 가로막은 배신자요, 약속의 땅을 침략한 바벨론에 못지않은 적대국으로 비쳐질 수밖에 없었다. 다윗이후 한동안 거의 한 나라처럼 간주되었고, 그래서 형제로 대우했던 에돔의 태도는 유다에게 심각한 배신감을 안겨주었다. 하지만 오바댜서는 에돔을 형제를 배신한 적대자로만 간주하지 않는다. 오바댜서는 형제, 에서, 그리고 세일산이라는 단어들을 사용하면서, 에돔과의 오랜 역사적 관계를 회상하고 있으며, 이러한 형제관계로 인해 적대적관계가 해소될 수 있다는 여지를 내비치고 있다. 오바댜서 21절에 포로에서해방된 사람들이 에서의 산을 다스리기 위해 시온산에 오르리라고 하였는데, 이는 하나님께서 세일산을 회복하실 때, 에돔과 한 형제로서 그 나라를통치할 것을 암시한다. 그 때 세일산은 더 이상 이방 나라로 불리지 않을 것이다. 왜냐하면 그 나라는 하나님의 나라가 될 것이기 때문이다.

목차

논문 초록
I. 서론
II. 에돔에 대한 적대감
III. 에돔에 대한 형제애
IV. 에돔에 대한 이중 감정의 원인
V. 결론
참고 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윤동녕 Dong Young Yoon. 서울장신대학교 부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