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Possibility of Epigenetic Phenomenon of the three Major Famine and 4.3 Incident in Jeju
제주 3대 大기근과 4.3사건의 후성유전(Epigenetic)현상 개연성
초록
영어
The human genome project decoded 99% of human genes for $ 3 billion by 1990-2003. However, as many studies on genes have progressed, it has become clear that there are many cases where diseases occur without structural alteration of genes. The latest study, Epigenetics, has come up with the answer to this problem. The famine that hit Jeju until 1670-1795, the ban on the exclusion of Jeju Island to the outside 200 years of suffering, and in 1948, one third of the citizens were killed by the 4.3 incident generate Epigenetic. It has been shown in the world history science that starving-stress can be manifested as obesity and disease in progeny due to hereditary phenomena. 5G-based healthcare IoT technology can be used for the treatment of obesity by enabling Epigenetic analysis of this phenomenon.
한국어
인간 유전자 게놈 프로젝트가 1990-2003년까지 30억 달러를 들여 인간유전자 99%를 해독했다. 그런데, 유전자 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됨에 따라 유전자에 구조적인 변질이 오지 않고도 질병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는 사실이 밝혀지고 있다. 최신 학문인 후성유전자학이 이 문제에 대한 답을 내놓고 있다. 1670-1795년까지 제주를 덮친 흉년과 제주도민이 외부로 출도금지령 200년간의 고통, 그리고 1948년 4.3사건으로 도민이 삼분에 일이 죽임을 당하는 수난 이 후성유전현상으로 자손대에 비만과 질병으로 발현될 수 있음을 세계역사속의 과학으로 보였다. 5G 기반의 헬스케 어 IoT 기술을 이용하면 이러한 현상에 대한 후성유전학적 분석이 가능해져 비만 치료에 이용될 수 있다.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후성유전 현상
1. 四多島(돌,바람,여자,비만)의 후성유전현상
2. 탐라, 고려, 조선, 근현대의 제주도환경변화에 따른 도민의 삶
Ⅲ. 후성유전 실험
1. 후성유전학적표식 DNA메틸화와 히스톤 변형
2. 식물에서 일어나는 후성유전학적 Coffrange 현상
3. 후성유전의 가소성
4. 제주에 3대 대기근과 1948년 4.3사건의 후성 유전현상과의 관계
Ⅳ. 결론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