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협력학습에서 의대생의 집단 효능감 수준이 협력조절, 인지부하, 학습자 만족도 및 학습결과에 미치는 영향

원문정보

The effects of the level of medical students’ collective efficacy on co-regulation, cognitive load, learner satisfaction and learning outcomes in collaborative learning environments

시지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levels of medical students’collective efficacy on co-regulation, cognitive load, learner satisfaction and learning outcomes in a collaborative learning situation. The 40 second-year medical students who enrolled in‘scientific thinking and medical research’course and 9 professo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y were grouped in a total of 9 with a group of 4-5 with one professor. The collective efficacy level of the groups was assessed through a survey after learner grouping at the beginning of the semester. They were divided into two(high and ow) groups according to the survey results except the one that showed the median value. The co-regulation, cognitive load, learner satisfaction, and learning outcomes were measured at the end of the semester and independent t-tests were conduct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group with higher level of collective efficacy showed higher level of co-regulation, cognitive load and learner satisfac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firm the importance of collective efficacy in collaborative learning and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monitor the level of collective efficacy from its beginning for effective collaborative learning.

한국어

본 연구는 한 의과대학 협력학습에서 그룹의 집단 효능감 수준이 협력학습전반 즉, 협력조절활동, 인지부하, 학습자 만족도 및 학습결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는 한 의과대학에서‘과학적 사고와 의학연구’과목을 수강한 의예과 2학년 학생 40명과 9명의 교수가 참여하였다. 이들은 학습자 4-5명과 1명의 교수가 한 조를 이루어 총 9조로 협력학습에 참여하였다. 집단 효능감 수준은 학습자 조배정이 끝난 후 설문조사를 통해 평가되었고, 각 조는 설문결과에 따라 중앙값을 보인 한조를 제외하고 상위하위 두 그룹으로 나누어졌다. 각 그룹의 협력조절, 인지부하, 학습자 만족도는 학기말에 설문조사를 통해 평가되었고 학습결과는 조별 그룹점수를 활용하였다. 두 집단 간 차이검증을 위해 독립집단 t-검증을 실시한 결과, 집단 효능감 수준이 높은 그룹이 높은 수준의 협력조절과 인지부하를 투입했으며, 학습자 만족도도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협력학습에서 집단 효능감의 중요성을 확인시켜주고 있으며, 효과적인 협력학습을 위해서는 협력학습시작 단계에서부터 학습자들의 집단 효능감 수준을 모니터링하는 것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집단 효능감
2. 집단효능감과 협력조절
3. 집단 효능감과 인지부하
Ⅲ. 연구 방법
1. 연구대상 및 절차
2. 연구도구
3. 자료 분석
Ⅳ. 연구결과
1. 조별 집단 효능감 점수분석
2. 상위하위 그룹의 협력조절, 인지부하, 학습자 만족도, 학습결과 평균비교
Ⅴ.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시지현 Si, Jihyun. 동아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