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증강현실 광고유형이 브랜드애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the Influence of Augment Reality(AR) Types on Brand Attachment

엄성원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is a study on the consumer reaction to the augmented reality advertisement which is a recent issue. this study was conducted based on the necessity of marketing advertisement technique suitable for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ra. First, we present the types of augmented reality ads based on previous studies, and examined the effects of enjoyment and formation of brand attitudes on brand attachment on products or services based on the perceived value of consumers for these types of ads . This study is briefly summarized as follows. Hypothesis (H1) empirical value had a positive effect on pleasure, and hypothesis H2) empirical value also had a positive effect on brand attitude. Hypothesis (H3) symbolic value had a positive effect on pleasure and hypothesis (H4) symbolic value had positive influence on brand attitude. Hypothesis (H5) Practical value has a positive effect on pleasure. Hypothesis (H7) Pleasure affects positively (+) influence on brand attitude. Hypothesis (H8, H9) enjoyment affects affection and brand attitude affects affection positively. Hypothesis (H6) Practical value did not affect brand attitude positively. It can be seen that the augmented reality advertisement communicates with consumers through experience or symbolic side rather than perceive practical value by consumer.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hat the augmented reality advertisement is highly interactive with consumers and can induce consumer participation. This means that consumers are more aware of empirical and symbolic values rather than experiencing practical value through augmented reality advertising

한국어

본 연구는 최근에 이슈가 되고 있는 증강현실광고에 대한 소비자 반응에 대한 연구이다.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맞는 마케팅 광고 기법의 필요성에 의해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먼저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증강현 실광고의 유형을 제시하고 이러한 광고유형에 대해 소비자가 지각하는 가치를 바탕으로 즐거움과 광고에 나타나는 제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브랜드 태도 형성이 브랜드 애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검증하였다. 본 연구를 간략히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가설(H1) 경험적 가치는 즐거움이 정(+)의 영향을 미쳤고, 가설H2) 경험적 가치는 브랜드 태도에 역시 정(+)의 영향을 미쳤다. 가설(H3) 상징적 가치는 즐거움에 정(+)의 영향을 미쳤고 가설(H4) 상징적 가치 는 브랜드 태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설 (H5) 실용적 가치는 즐거움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가설(H7) 즐거움이 브랜드 태도에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가설(H8,H9) 즐거움이 애착, 브랜드 태도가 애착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설(H6) 실용적 가치가 브랜드 태도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증강현실광고의 특성상 실용적 가치를 소비자가 지각 하는 것보다는 경험혹은 상징적인 측면을 통해 소비자와 소통함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증강현실 광고가 일반광고와 다르게 소비자와 상호작용성이 높으며 소비자 참여 유 도가 가능하다. 이는 소비자는 증강현실 광고를 통해 실용적 가치를 경험하기 보다는 경험적이고 상징적 가치를 더욱 지각하게 된다는 것이다.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연구의 이론적 배경 및 가설
1. 증강현실(AR)의 개념
2. 증강현실(AR)광고의 유형
3. 즐거움
4. 브랜드 태도와 애착
Ⅲ. 연구방법
1. 자료수집
2. 변수의 조작적 정의
3. 추가분석
Ⅳ. 결론
1. 연구의 요약 및 시사점
2.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연구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엄성원 Eum, Seong-Won. 부산외국어대학교 국제무역마케팅학부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