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역사기념관 플레이스 메이킹 프레임워크 - 역사기념관의 참여, 소통, 가치와 비전 제고를 위한 Co-design 방법 중심으로 -

원문정보

History Memorial Place Making Framework - Focusing on the Participation of the Historical Memorial Hall, Communication, and Co-design Method to Increase Value and Vision -

박신희, 장동련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history memorial hall has a symbolic meaning representing the country or a specific area and has a place value that enables global communication with the international community. The most important part of the place making of the history memorial hall is active participation and collaboration with various stakeholders including participant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ous components of the place making and the various stakeholders including the participants formed through the co-design process in the previous research, and finally, to present a method with a practical and effective approach. We have identified the types of applications that correspond to each case through case making of historical memorials in Korea and abroa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method of creating the place value by connecting the past and present contextually is to make the place where the historical place can be reproduced by actively participating and communicating with various stakeholders including the participants both on and offline. This study proposes Co-design in an effective way that enables participation and communication as a result, and suggests a historical memorial place making framework that can present the future vision and value of the historical memorial.

한국어

역사기념관은 국가나 특정 지역을 대표하는 상징적인 의미를 지닌 곳으로, 국제 사회와 글로벌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한 장소 가치를 지닌다. 이러한 역사기념관의 플레이스 메이킹을 위해서는 참여자를 포함한 다양한 이해관계자들과의 적극적인 참여와 협업이 중요하다. 따라서 이 연구는 선행연구에서 플레이스 메이킹의 구성 요소와 참여자를 포함한 다양한 이해관계자들 간의 관계성을 고찰하여 역사기념관 플레이스 메이킹을 도출할 수 있는 실질적이고 효과적인 접근 방법의 제시를 목적으로 한다. 국내·외 역사기념관의 플레이스 메이킹 사례를 분석하여 각 사례에 해당하는 적용 유형을 파악하였다. 분석 결과, 과거와 현재를 맥락적으로 연결하여 세계사적 장소 가치를 창출하는 유형은, 온·오프라인 전반에 걸쳐서 참여자를 포함한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적극적인 참여와 소통으로 역사적인 장소의 재현을 가능하게 만드는 유형으로, 장소의 유무형 자산을 활용하여 기여하는 방식이다. 이 연구는 결과적으로 참여자를 포함한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참여와 소통을 Co-design 방법으로 고찰하고, 이를 통하여 역사기념관의 미래 비전과 가치를 제시할 수 있는 역사기념관 플레이스 메이킹 프레임워크를 제안한다.

목차

초록
Abstract
1. 서론
1.1. 연구 배경 및 목적
1.2. 연구 범위 및 방법
2. 플레이스 메이킹의 개념과 진화
2.1 장소 정체성과 장소감
2.2. 플레이스 브랜딩과 플레이스 메이킹
3. 역사기념관의 플레이스 메이킹 분석방법
3.1. Co-design과 Co-design Process
3.2. Co-design을 통한 역사기념관 플레이스 메이킹
4. 역사기념관의 플레이스 메이킹 사례분석
4.1. 독립기념관
4.2. 대한민국역사박물관
4.3. M+Stories - West Kowloon Cultural District
4.4. The National 9/11 Memorial & Museum
4.5. 분석의 결과
5.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박신희 Park Shin Hee. 홍익대학교 대학원 시각디자인전공
  • 장동련 Chang Dong Ryun.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시각디자인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