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지역브랜딩을 위한 지역 자원 유형화에 관한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the Classification of Local Resources for Local Branding

김수은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Local tour business across the world is getting more competitive, and accordingly, the local governments in Korea also need to develop sophisticated local branding as a way to enhance the quality of local tourism, which requires the most initial steps to find the type of each region’s resource. However, the existing types are limited to including the factors of current local brands while the new type, which has values on thoughts, has appeared. Therefore, this study tries to cover the larger scope of local branding factors. This study lists up the korean local brands based on 2010 Local Brand Collective, and derives the branding factors. And then, the researcher categorizes these factors into eight small categories. Afterwards, these are combined to four types ─ natural value-conservation, cultural value-base, tangible value-production, and value-open types. This study suggests the criteria of intangibility to include more local resources. In addition, this considers utility value of local resources that helps local governments effectively use their resources. Especially, this includes resources such as ideology by providing value-open types, and shows the regions can also develop successful local brands. The follow-up study will focus on value-open types and suggest the various actual methods to apply to build their own brands.

한국어

최근 세계 도시들이 치열한 관광 경쟁을 벌이고 있으며, 우리나라의 각 지역도 지역 관광의 질적 강화를 위해 정교한 지역브랜딩이 필요한데, 이를 위해 지역의 자원 요인을 찾아 유형화하는 작업이 선행되어야 한다. 그런데 추상적 가치를 요인으로 하는 지역브랜드가 생겨나는 추세에 반해, 기존 지역 자원 유형들은 이 요인을 포괄하는 데 한계가 있다. 그래서 본 연구는 유형 재구성을 통해 포괄 범위를 넓히려 한다. 본 연구는 지역자원의 유형에 관한 선행 연구를 검토한 후, 지역브랜드 총람(2010)의 전국 지역브랜드를 나열하고, 브랜딩 요인을 도출한 다음, 두 차례 요인 분류 과정을 거쳐 8가지로 범주화한다. 이후, 지역 자원의 이용과 자원의 형태라는 관점을 두 가지 기준으로 삼아 도식화함으로써 유형을 도출하였고, 최종적으로 지역 자원을 ‘자연가치보존형’, ‘문화가치기반형’, ‘유형가치생산형’, ‘가치개방형’ 자원으로 유형화하였다. 본 연구는 무형 자원의 가치를 고려하는 기준을 제시하여 더욱 많은 지역 자원들을 포함하게 하며, 자원의 이용가치를 고려하게 함으로써 지역 자원을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구분이 모호하였던 이념 등의 지역브랜드 요인을 가치개방형 자원으로 포함하여 이 유형 또한 성공적인 브랜딩 결과를 제시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향후 연구는 가치개방형 자원 유형 위주로 브랜딩 사례들을 제시하고, 브랜딩 과정을 연구하여 국내 지역들이 이미 소유한 지역 자원의 편차를 극복하고 성공적으로 지역브랜드를 도출하는 데에 실제로 적용할 수 있는 다양한 방식을 제안하고자 한다.

목차

초록
Abstract
1. 서론
1.1. 연구의 배경과 목적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2. 이론적 배경
2.1. 지역브랜딩에 관한 이론적 고찰
2.2. 지역자원 유형 분류에 관한 선행 연구 고찰
3. 국내 지역브랜드 요인의 유형화
3.1. 국내 지역브랜드의 나열과 요인 범주화
3.2. 국내 지역 자원 유형 분류 기준
3.3. 유형 분류 기준에 따른 지역 자원 유형 구분
4. 지역 자원의 유형 분류
4.1. 자연가치보존형 자원
4.2. 문화가치기반형 자원
4.3. 유형가치생산형 자원
4.4. 가치개방형 자원
5. 결론 및 향후 연구
참고문헌

저자정보

  • 김수은 Kim Soo Eun. 서울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 1∙ 사이먼 안홀트, 「국가브랜드의 세계적인 권위자 안홀트의 장소브랜딩」, HUINE, 2015.
  • 2∙ 이무용, 「서울시 야간문화관광 프로그램 개발 연구」, 서울시정개발연구원, 2004.
  • 3∙ 행정안전부 한국지역진흥재단, 「대한민국 지역브랜드」, 한국지역진흥재단, 2010.
  • 4∙ 강광민, 관광콘텐츠가 지역이미지와 삶의 질에 미치는영향, 조선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7.
  • 5∙ 고민정, 창원시 도시 브랜드화를 위한 지역 디자인센터연구,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 10 No.1, 2012.
  • 6∙ 구자룡, 도시브랜딩의 새로운 패러다임, 오픈소스 브랜딩, 한국마케팅연구원, Vol. 50 No.1, 2016.
  • 7∙ 김철호, 지역 브랜드 정체성 구축의 동인으로서의 올림픽 기대가치와 지역사회 소속감 측정 척도연구,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11 No.2, 2013.
  • 8∙ 나애리, 관광산업 도시를 위한 유럽 도시 브랜딩, 유럽문화예술학논집, Vol.9 No.1, 2018.
  • 9∙ 신보미, 문화재의 역사문화적 특성이 관광자원으로서의가치에 미치는 영향. 세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 10∙ 신윤천, 도시브랜딩이 변하고 있다, 한국마케팅연구원, Vol.50 No. 6, 2016.
  • 11∙ 이무용, 장소마케팅 전략에 관한 문화정치론적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3.
  • 12∙ 이소영, 지역브랜딩 사례와 가치 및 실행전략,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008.
  • 13∙ 이정훈, 장소브랜딩 모형 구축 연구, 경기개발연구원, 2006.
  • 14∙ 이철희, 지역브랜드의 성공전략, 농촌진흥청, 2011.
  • 15∙ 장세길․이성호․이새롬, ‘한국 속의 한국’ 지역브랜드추진전략 수립을 위한 기초연구, 전북발전연구원, 2014.
  • 16∙ 장동련․전미연․권승경, 도시 브랜드 가치 제고를 위한플레이스 브랜딩에 관한 연구, Archives of Design Rese arch, Vol.23 No.4, 2010.
  • 17∙ 최수웅․강민희, 전통문화자원을 활용한 지역브랜드 도출 방안 연구, 브랜드디자인학 연구, Vol. 12 No.2, 2014.
  • 18∙ the Atlantic, https://www.theatlantic.com/business/arc hive/2017/04/richard-florida-winner-take-all-new-ur ban-crisis/522630/.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