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유학의 ‘勇’개념과 인성교육의 연관성 검토

원문정보

A Review of Connections between the 'Yong' Concept in Confucianism and Personality Education

홍한얼, 곽낙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examine specifically the meanings of 'Yong' and 'courage' based on the Four Books after setting out to review the meanings of the letter 'Yong(勇)'. 'Yong' is characterized by the absence of fear. It can be classified into external 'courage' to signify valiant and strong and internal 'valor' based on 'In(仁)' and 'Ui(義), 'bold determination,' ' This distinction can be examined according to the concepts of 'Daeyong(大勇)' and 'Soyong(小勇).' The desirable type of 'Yong' that people need to pursuit is 'Daeyong' based on 'In(仁)' and 'Ui(義),' and it can be expressed as 'vast spirit(浩然之氣).' The moral education on today is likely to practice focusing on cognitive and emotional approaches. However, the moral inquiries based on cognitive and emotional status can be extremely difficult to carry out since there are a number of external elements to be considered. It means that only internal 'valor' is focused except external 'courage.' Physical education also seems to address only external 'courage.' As seen with the 'archery courtesy.' However, the internalization of moral values accompanied by physical activities is essential to the practice of moral values. Physical activities which are regarded as independent subjects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along with the approaches of moral education. Because It is necessary to look at the relations between moral education and physical education. The study shed light on relations between 'courage' and 'valor' focusing on 'Yong' and examined connections between moral education and physical education through 'archery courtesy.' In the future, we will need to compare them with western counterparts to specify the modern meanings of 'courage' and ensure the legitimacy of rational interpretations through diverse researches on the integrated progress method of moral education and physical education.

한국어

본 연구는 ‘용(勇)’의 자의(字義)를 검토한 후 사서(四書)를 중심으로 ‘용’과 ‘용기’의 의미를 구체적으로 알아보았다. ‘용’의 특징은 두려워하지 않는 것이다. 이것은 씩씩함과 굳셈을 의미하는 외면적 ‘용기’와 ‘과감한 결단’과 ‘인(仁)’ 그리고 ‘의(義)’를 바탕으로 하는 내면적 ‘용감(勇敢)’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러한 구분은 ‘대용(大勇)’과 ‘소용(小勇)’ 개념을 적용해 살펴볼 수 있다. 우리가 추구해야 할 ‘용’은 ‘인(仁)’과 ‘의(義)’를 바탕으로 한 ‘대용’이며 ‘호연지기(浩然之氣)’로 표현될 수 있다. 현재 도덕교육은 인지적 접근과 정서적 접근을 중심으로 실천을 지향하고 있다. 하지만 인지나 정서에 의한 도덕적 탐구가 실천으로 이어지기는 매우 어렵다. 왜냐하면 수많은 외적 요소가 고려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이것은 외면적 ‘용기’가 외면된 채 내면적 ‘용감’에만 집중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체육교육은 외면적 ‘용기’만 다루어지는 것으로 보여 지고 있다. 하지만 ‘사례(射禮)’에서 보듯 신체적 활동을 겸한 도덕적 가치의 내재화는 도덕적 가치의 실천에 있어 필수 불가결한 것이다. 신체적 활동은 도덕교육의 접근법과 함께 고려되어야 할 요소인 것이기 때문에 독립된 과목으로 인식되어 연관성이 잘 드러나지 않고 있는 도덕교육과 체육교육의 관계를 다시 바라 볼 필요가 있다. 본고는 ‘용’을 중심으로 ‘용기’와 ‘용감’의 관계를 밝혔으며, ‘사례’를 중심으로 도덕교육과 체육교육의 연관성을 살펴보았다. 향후 서양과의 비교 연구를 통해 ‘용기’의 현대적 의미를 보다 구체화 하고, 도덕교육과 체육교육의 통합적 진행 방식에 대한 다양한 연구를 통해 보다 합리적인 해석의 정당성이 확보되어야 할 것이다.

목차

<논문 요약>
Ⅰ. 서론
Ⅱ. ‘용(勇)’ 과 ‘용기(勇氣)’의 개념 검토
Ⅲ. ‘용기(勇氣)’와 인성교육의 연관성 탐색: ‘사례(射禮)’를 통해 본 도덕교육과 체육교육의 통합적 이해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홍한얼 Hong, Han-eol. 경인교육대학교 강사
  • 곽낙현 Kwak, Nak-hyun. 한국학중앙연구원 전임연구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